학술논문
두 종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asured with Two Different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evic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범석(Beom Seok Choi) 장수경(Su Gyeong Jang) 신종훈(Jong hoon Shin) 이지웅(Ji Woo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7, 1118~112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두 종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를 이용하여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일치도와 녹내장안 진단의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Cirrus OCT와 Spectralis OCT를 이용하여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 56명 89안과 정상인 25명 42안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 OCT 기기로 측정한 사분면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일치도를 급내상관계수와 B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분면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녹내장 진단능력 비교는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로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두 OCT 기기로 측정한 사분면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는 우수한 일치도를 나타내었으나(급내상 관계수≥0.81), 이측 사분면에서 Spectralis OCT가 Cirrus OCT보다 더 두껍게 측정되었다(p<0.001). 두 OCT 기기로 측정한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가장 높은 녹내장 진단력을 보였고(AUC 각각 0.85, 0.87, p=0.30), 사분면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AUC 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정상안과 녹내장안 모두에서 Spectralis OCT가 Cirrus OCT보다 이측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높았으나, 두 기기 간 각 사분영역 및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측정의 일치도는 우수하였고, 녹내장의 진단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118-1125>
영문 초록
Purpose: To assess the agreement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glaucoma diagnosis of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measurements between two different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devices.
Methods: Eighty nine eyes of 56 patients with glaucoma and 42 eyes of 25 healthy individuals were imaged with Cirrus and Spectralis OCT in a single visit. Agreement between RNFL thickness measurements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efficient (ICC) and Bland-Altman plots. The discriminating abilities of the two techniques for detection of glaucoma were compared by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UC) for quadrants and average RNFL thickness.
Results: ICC values for agreement between both instruments were good for quadrants and average RNFL thickness (all ≥ 0.81). However, Spectralis OCT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irrus OCT for temporal quadrant (difference = 4.27 μm in normal group, 3.91 μm in glaucoma group, p < 0.001 for both). The RNFL thickness parameter with the largest AUCs was the average RNFL thickness for the Spectralis OCT and the Cirrus OCT (0.85 vs. 0.87, p = 0.30). The pair-wise comparison amo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for all parameters.
Conclusions: Although Spectralis OCT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irrus OCT for temporal quadrant, agreement of RNFL measurement between both the devices was generally goo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glaucoma diagnosis between both instrum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118-1125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동맥 플라크를 동반한 뒤허혈시신경병증 1예
- 속발 내사시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
- 소아에서 빈크리스틴 사용 후 발생한 외안근 마비 2예
- 2015년 한국망막학회 회원의 유리체 망막 질환에 대한 설문 조사:
- 소수성 인공수정체와 친수성 인공수정체의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 시행률 비교
- 유피낭종으로 오인된 안와 내 기생충낭 1예
- 원발급성폐쇄각발작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에 이은 조기 수정체적출술 병합치료의 효과
-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눈물샘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 1예
-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지방층염양 말초 T세포 림프종 1예
- 갑상샘눈병증의 질병 활성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과 관련 인자 분석
- 두 종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분석
- 당뇨 환자에서 첫 안저검사를 시행하는 주된 이유 및 관련 요인
- 고령에서의 백내장 수술의 안정성
- 근시안에서 각막굴절교정 렌즈 처방 후 근시교정량, 안축장길이 및 고위수차와의 상관관계 비교
- 흡수성 인공삽입물을 이용한 안와골절정복술 후 발생한 지연성안와연조직염 1예
- 두 샤임플러그 전안부사진기를 이용한 전안부 계측치의 비교
- 황반원공 수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한 황반구조의 회복과정
- 양측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호지킨 림프종 1예
- 한국인의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와 망막 혈관 변화와의 관계
-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노후화가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임상적 결과
- Klebsiella ozaenae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
- 칸디다 알비칸스 각막염 환자에서 동결보존각막을 이용한 치료적 각막이식술 1예
-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
- 세 가지 유형의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