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임상적 결과
이용수 12
- 영문명
- Clinical Outcomes of Probing in Children with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임성웅(Sung Woong Lim) 박종서(Jong Seo Park) 유혜린(He len Lew)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7, 1031~103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적절한 치료시기 및 결과, 그리고 치료 성공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눈물흘림 및 안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여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으로 진단 받고 탐침술을 시행 받았던 174명 20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시행 시의 연령, 시술 전 치료, 편측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술 후 3개월이상 눈물흘림의 증상이 없는 경우를 시술 성공으로 보고 환아군을 성별, 연령별, 편측성 여부, 이전 탐침술 여부에 따라 나누어 각 군의 성공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환아 174명(200안)중 남아 94명(109안), 여아 80명(91안)의 시술 시 나이는 7.51 ± 3.39개월이고, 첫 번째 탐침술의 성공률은 163안/200안(81.5%)이었다. 남아의 성공률은 88안/109안(80.7%), 여아는 75안/91안(82.4%)에서 성공하였고 성별에 따른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탐침술을 시행한 연령에 따른 성공률은 A군(6개월 이하)에서 76안/91안(83.5%), B군(6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72안/90안(80.0%), C군(12개월 초과) 15안/19안(78.9%)이었다. 탐침술의 시행시기에 따른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측으로 증상을 가지는 환자의 성공률은 128안/148안(86.4%)이었으며, 양측의 경우는 35안/52안(67.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우안의 성공률은 88안/105안(83.8%), 좌안의 성공률은 75안/95안(78.9%)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첫 번째 탐침술이 실패한 37안 중 24안은 탐침술을 다시 시행하였고, 17안/24안(70.8%)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반복적인 탐침술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4안은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탐침술의 성공률은 180안/200안(90%)이었다.
결론: 탐침술을 시행하는 연령에 따른 성공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양안 코눈물관 막힘으로 치료적 탐침술을 시행하는 경우 단안에서보다 성공률이 낮았다. 선천성코눈물관 막힘에서 탐침술은 효과적인 1차 치료방법이며, 양안의 눈물흘림 증상을 가지는 환아에서 보다 주의 깊은 경과 관찰 및 추가치료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031-1036>
영문 초록
Purpose: To determine the success rate of probing for the treatment of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nd to identify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s.
Methods: The records of probing procedures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5 were reviewed. The present study included 200 eyes of 174 patients with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Successful probing was defined as complete resolution of epiphora 3 months after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in terms of sex, age, laterality, and previous probing.
Results: A total of 200 eyes of 174 children (109 eyes of 94 males and 91 eyes of 80 females; mean age, 7.51 ± 3.39 months) had undergone the probing procedure. The overall success rates of primary probing were 81.5%, with an 80.7% success rate in males (88 eyes of 109 eyes) and 82.5% in females (75 eyes of 91 eyes). Success rates were 83.5% for the 91 eyes in children aged 0 to 6 months, 80.0% for the 90 eyes in children 6 to 12 months, and 78.9% for the 19 eyes in children over 12 month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among age groups. The probability of treatment success was lower in bilateral disease (p < 0.05; 86.4-67.3%). Twenty-four of 37 eyes with unsuccessful primary probing underwent secondary probing, resulting in a 70.8% success rate. Silicone tube insertion was performed in 4 eyes repeatedly, however, the procedures were unsuccessful. The overall success rate was 90%.
Conclusions: The success rates among various ag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bability of treatment success was lower in bilateral cases. Probing is an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in children diagnosed with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Close observa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bilateral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031-1036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동맥 플라크를 동반한 뒤허혈시신경병증 1예
- 속발 내사시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
- 소아에서 빈크리스틴 사용 후 발생한 외안근 마비 2예
- 2015년 한국망막학회 회원의 유리체 망막 질환에 대한 설문 조사:
- 소수성 인공수정체와 친수성 인공수정체의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 시행률 비교
- 유피낭종으로 오인된 안와 내 기생충낭 1예
- 원발급성폐쇄각발작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에 이은 조기 수정체적출술 병합치료의 효과
-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눈물샘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 1예
-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지방층염양 말초 T세포 림프종 1예
- 갑상샘눈병증의 질병 활성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과 관련 인자 분석
- 두 종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분석
- 당뇨 환자에서 첫 안저검사를 시행하는 주된 이유 및 관련 요인
- 고령에서의 백내장 수술의 안정성
- 근시안에서 각막굴절교정 렌즈 처방 후 근시교정량, 안축장길이 및 고위수차와의 상관관계 비교
- 흡수성 인공삽입물을 이용한 안와골절정복술 후 발생한 지연성안와연조직염 1예
- 두 샤임플러그 전안부사진기를 이용한 전안부 계측치의 비교
- 황반원공 수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한 황반구조의 회복과정
- 양측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호지킨 림프종 1예
- 한국인의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와 망막 혈관 변화와의 관계
-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노후화가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임상적 결과
- Klebsiella ozaenae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
- 칸디다 알비칸스 각막염 환자에서 동결보존각막을 이용한 치료적 각막이식술 1예
-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
- 세 가지 유형의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