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상샘눈병증의 질병 활성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과 관련 인자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Clinical Features of Dry Eye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According to Disease Activi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하준영(Jun Young Ha) 최원(Won Choi) 윤경철(Kyung Chul Yo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7, 1037~104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질병 활성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갑상샘눈병증과 연관된 건성안으로 진단 받은 157명 환자를 임상 활동도 점수(clinical activity score, CAS)에 따라 비활동기군 90명 90안(CAS<3)과 활동기군 67명 67안(CAS≥3)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서 임상양상과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검사, 각막상피병증점수, 안구표면질환지수를 비교하고 이 지표들과 나이, 안구돌출도, 눈꺼풀틈새폭, 갑상샘호르몬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비활동기 및 활동기군의 CAS는 각각 1.24 ± 0.69, 4.23 ± 1.13이었다. 활동기군에서 비활동기군에 비해 갑상샘자극호르몬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thyrotropine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수치가 높았으며 안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외안근 비대가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활동기군에서 비활동기군에 비해 눈물막 파괴시간은 짧았으며, 안구표면질환지수는 높았다. 두 군 모두에서 눈물막 파괴시간은 안구돌출도 및 눈꺼풀틈새폭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동기 환자군에서 안구표면질환지수와 안구돌출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건성안을 동반한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활동기군은 비활동기군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더 짧았으며 건성안 증상은 더 심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눈물막파괴시간은 모든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구돌출이 심할수록, 눈꺼풀틈새폭이 클수록 짧았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7):1037-1043>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dry eye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TAO) according to disease activity and analyze the related facto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7 patients diagnosed with TAO and dry eye between March 2009 and March 2015. According to the clinical activity score (CAS), TAO patients were divided into inactive (CAS < 3) and active (CAS ≥ 3) groups. Clinical features included age, sex, visual acuity, proptosis, palpebral fissure width, orbital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thyroid hormones, and ocular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tear film break-up time (TFBUT), Schirmer tests, keratoepitheliopathy score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were obtained and compared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features and ocular surface parameters were analyzed in both groups.
Results: In the inactive and active TAO groups, CAS was 1.24 ± 0.69 and 4.23 ± 1.13, respectively (p = 0.001). Thyrotropin-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tive TAO group than in the inactive TAO group (p = 0.048). On orbital CT, extraocular muscle hypertrophy was more common in the active TAO group than the inactive TAO group (p = 0.020).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ge, sex, visual acuity, free T4, and thyroid-stimulating hormone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analysis of the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parameters, TFBUT (p = 0.006) was shorter and OSDI score (p = 0.028) was higher in the active TAO group than the inactive TAO group. TF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ptosis (r = -0.432, p = 0.001; r = -0.308, p = 0.032) and palpebral fissure width (r = -0.367 p = 0.012; r = -0.312, p = 0.031) in both groups. OSD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ptosis in the active TAO group (r = 0.301, p = 0.033).
Conclusions: TFBUT was shorter and OSDI score higher in dry eye patients with active TAO than in patients with inactive TAO. The TF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ptosis and palpebral fissure width in both group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7):1037-1043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동맥 플라크를 동반한 뒤허혈시신경병증 1예
- 속발 내사시에서 수술량을 내사시각의 1/4만큼 시행한 한눈 외직근 전진 수술의 효과
- 소아에서 빈크리스틴 사용 후 발생한 외안근 마비 2예
- 2015년 한국망막학회 회원의 유리체 망막 질환에 대한 설문 조사:
- 소수성 인공수정체와 친수성 인공수정체의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 시행률 비교
- 유피낭종으로 오인된 안와 내 기생충낭 1예
- 원발급성폐쇄각발작에서 레이저홍채절개술에 이은 조기 수정체적출술 병합치료의 효과
-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눈물샘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 1예
-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지방층염양 말초 T세포 림프종 1예
- 갑상샘눈병증의 질병 활성도에 따른 건성안의 임상양상과 관련 인자 분석
- 두 종류의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비교분석
- 당뇨 환자에서 첫 안저검사를 시행하는 주된 이유 및 관련 요인
- 고령에서의 백내장 수술의 안정성
- 근시안에서 각막굴절교정 렌즈 처방 후 근시교정량, 안축장길이 및 고위수차와의 상관관계 비교
- 흡수성 인공삽입물을 이용한 안와골절정복술 후 발생한 지연성안와연조직염 1예
- 두 샤임플러그 전안부사진기를 이용한 전안부 계측치의 비교
- 황반원공 수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한 황반구조의 회복과정
- 양측 안와에 발생한 원발성 호지킨 림프종 1예
- 한국인의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와 망막 혈관 변화와의 관계
- 빛간섭단층촬영기의 노후화가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코눈물관 막힘 환아에서 탐침술의 임상적 결과
- Klebsiella ozaenae에 의한 내인성 안내염
- 칸디다 알비칸스 각막염 환자에서 동결보존각막을 이용한 치료적 각막이식술 1예
-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
- 세 가지 유형의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의 특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