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동 협업 환경에서의 머시니마를 사용한 G-러닝 콘텐츠 저작 도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G-Learning Authoring Tool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using Machinima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이준(Jun Lee) 박성준(Sung J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3호, 65~7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G-러닝은 게임기술과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고, 개발된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사용하면서 학습하는 것을 말하며, 게임 시장의 유망한 분야로 널리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나온 대부분의 G러닝 콘텐츠는 학습적인 요소들만을 강조하고, 제작하는데 에 많은 어려움을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재미가 떨어지고, 궁극적으로 교육적인 효과까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G러닝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재미와 교육적인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도록 가상 애니메이션 장르인 머시니마 기술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G러닝 콘텐츠를 머시니마 기법을 사용하여 쉽게 제작하고, 제작된 콘텐츠가 사용자들의 커뮤니티에 의해서 확대 및 재생산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RPG 게임에 나오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블록 맞추기 및 최소 거리 찾기 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교육요소를 적용하였다.
영문 초록
G-Learning is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game technologies and theories, and users learn this educational content from playing the G-Learning. It is widely used as a promising application for game industry. However, conventional G-learning methods are focused on educational elements, and it is also difficult to creat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G-Learning authoring tool using Machnima.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n authoring method using Machnima, and provides a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for various users to attend the created G-Learning content and modify it.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3D block design and finding a shortest path using resources, where role playing game are used.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시스템 구성
Ⅳ.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및 머시니마의 적용 사례
Ⅴ. 실험평가 및 결과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기반 감성 게임 엔진 및 교감형 감성 게임 콘텐츠
- 음악게임치료가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게임포털의 상호작용이 플로우와 신뢰,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듬 액션 게임을 활용한 노인 대상 음악 치료에서 우울감,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게임 효과 분석
- 게임 플레이어의 공감지수
- 실감형 온라인 게임을 위한 계산이론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
- 게임 규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 게임 개발에서 Event-State-Action Graph에 기반한 시나리오 분석 및 표현
- 양방향 회선 필터를 이용한 게임 영상에 대한 색연필 드로잉
- 뇌파신호를 이용한 게임성 테스트
- 테트로미노 타일링을 통한 지뢰찾기 변형 게임의 설계와 구현
- 공동 협업 환경에서의 머시니마를 사용한 G-러닝 콘텐츠 저작 도구
- 2차원과 3차원 감성영상콘텐츠가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모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3D 캐릭터 모델링 방법
- Development of Flex-based Social Network Game
- 오픈소스 Moodle LMS의 모듈을 확장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 머시니마의 게임 프리비주얼라이제이션 제작사례에 관한 연구
- 재미요소가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게임 현지화 연구
- 게임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과몰입의 탐색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계획 기반 NPC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에 대한 동향 분석
- 다자간 상호작용 콘텐츠 제어를 위한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