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규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53
- 영문명
-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Game 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이승훈(Seung hun Lee) 이하영(Ha young Lee) 김지웅(Ji w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3호, 211~2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급속성장 하고 있는 게임 산업은, 역기능으로 지적 받고 있는 사행성 문제로 인해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다른 역기능보다 특히 게임 사행성의 문제가 게임 개발자의 입장에서 더욱 주목 받는 것은, 합법적인 게임이 불법적 게임이용자들의 위법행위에 의해 사행성이 덧씌워진다는 점에 있다. 이렇게 '덧씌워진' 사행성을 두고 오히려 '게임자체'에 대한 규제가 가해지면, 게임성의 변질과 함께 예상치 못한 부작용으로 인해 규제도 게임도 모두 실패하는 상황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한 게임 규제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게임 개발자의 입장에서 검토하였으며, 게임 산업이 받고 있는 규제와 규제 적용이 게임성 변화에 미치는 실제사례를 연구하여 정리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앞으로의 게임개발과 게임에 대한 법적 규제의 실효성에 대한 고찰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열어 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game industry,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ing these days in Korean society, is a socially debated issue for the fact that some games are allegedly likely to stir up a speculative drive in people. Among others, the speculativeness of games has been paid more attention by game developers because of the prevalent belief in Korean society that basically games are gambling, which has been more consolidated by reported illegal activities committed by some users of illegal games. More disturbingly, if regulations are put on the act of gaming, not on some speculative games, the nature of games could be distorted and an unexpected adverse effect would arise as a result. The concern is that both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 and profits of the game industry would be los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and the effect of the current game regulation from a perspective of game developers and investigates how the regulation and its operation affect the change of the nature of ga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ring about the deeper exploration of the effect of game regulation and broaden the view on the Korean game industr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게임성의 왜곡과 문제제기
Ⅳ. 실험설계 및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기반 감성 게임 엔진 및 교감형 감성 게임 콘텐츠
- 음악게임치료가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게임포털의 상호작용이 플로우와 신뢰,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듬 액션 게임을 활용한 노인 대상 음악 치료에서 우울감,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게임 효과 분석
- 게임 플레이어의 공감지수
- 실감형 온라인 게임을 위한 계산이론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
- 게임 규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 게임 개발에서 Event-State-Action Graph에 기반한 시나리오 분석 및 표현
- 양방향 회선 필터를 이용한 게임 영상에 대한 색연필 드로잉
- 뇌파신호를 이용한 게임성 테스트
- 테트로미노 타일링을 통한 지뢰찾기 변형 게임의 설계와 구현
- 공동 협업 환경에서의 머시니마를 사용한 G-러닝 콘텐츠 저작 도구
- 2차원과 3차원 감성영상콘텐츠가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모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3D 캐릭터 모델링 방법
- Development of Flex-based Social Network Game
- 오픈소스 Moodle LMS의 모듈을 확장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 머시니마의 게임 프리비주얼라이제이션 제작사례에 관한 연구
- 재미요소가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게임 현지화 연구
- 게임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과몰입의 탐색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계획 기반 NPC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에 대한 동향 분석
- 다자간 상호작용 콘텐츠 제어를 위한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