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플레이어의 공감지수
이용수 53
- 영문명
- Index of Empathy for Game Player Groups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현혜정(Hye Jung Hyun)고일주(Il Ju Ko)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3호, 175~1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감을 이용하여 가상세계에서 감정의 상호작용 원리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게임 내 플레이어유형별 공감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공감지수측정 도구는 대인관계반응지수와 균형정서공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으로 플레이어 유형별 공감지수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감지수를 통한 플레이어 유형을 구분할 수 있도록 판별식을 도출하였다. 플레이어 유형은 선행연구에서 플레이어의 역할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여 딜러, 탱커, 하이브리드, 힐러로 분류하였다. 딜러의 경우는 공감지수 중 '정서적 냉정성'이 다른 변수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판별식에서는 '관점 전환'을 중심으로 구분이 이루어진다. 탱커의 경우는 딜러와 유사하며 특히 '정서적 냉정성'과 '정서 감염'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하이브리드의 경우는 '긍정적 공유' 항목이 중요요인 항목이며 '정서의 내재화' 요인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힐러의 경우는 '정서적 전염' 항목이 중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 유형에 따른 공감을 해석할 수 있으므로 게임 내의 감정에 전이를 나나타내고자 한다면 공감지수를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empathy indexes by the types of players in a game in order to use empath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emotional interaction in the virtual world. As a tool to measure the empathy index, IRI(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BEES(the Balanced Emotional Empathy Scale) were used. And as a method for analysis, as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were draw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empathy indexes by the player types and divide the player types with the empathy index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paper, empathy can be analyzed by the player types, so if you want to represent the emotional transference tin in the game, we can use and apply the empathy indexe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플레이어의 공감 지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기반 감성 게임 엔진 및 교감형 감성 게임 콘텐츠
- 음악게임치료가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게임포털의 상호작용이 플로우와 신뢰, 향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듬 액션 게임을 활용한 노인 대상 음악 치료에서 우울감,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게임 효과 분석
- 게임 플레이어의 공감지수
- 실감형 온라인 게임을 위한 계산이론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
- 게임 규제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 게임 개발에서 Event-State-Action Graph에 기반한 시나리오 분석 및 표현
- 양방향 회선 필터를 이용한 게임 영상에 대한 색연필 드로잉
- 뇌파신호를 이용한 게임성 테스트
- 테트로미노 타일링을 통한 지뢰찾기 변형 게임의 설계와 구현
- 공동 협업 환경에서의 머시니마를 사용한 G-러닝 콘텐츠 저작 도구
- 2차원과 3차원 감성영상콘텐츠가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모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3D 캐릭터 모델링 방법
- Development of Flex-based Social Network Game
- 오픈소스 Moodle LMS의 모듈을 확장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 머시니마의 게임 프리비주얼라이제이션 제작사례에 관한 연구
- 재미요소가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게임 현지화 연구
- 게임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과몰입의 탐색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계획 기반 NPC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에 대한 동향 분석
- 다자간 상호작용 콘텐츠 제어를 위한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