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령론적 자연관
이용수 72
- 영문명
- A Pneumatological View of Nature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조현철(Cho Hyun chul)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4호, 13~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생태적 세계관의 정립을 위한 신학적 제언이다. 현대의 생태 위기는 근대 이후 서구에서 등장한 기계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자연에 대한 인간중심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인간중심주의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원론적 시각과 인간에 대한 자연의 유용성만을 생각하는 지나친 도구적 관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려면 인간과 자연의 통합적 시각과 자연의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는 자연관, 곧 생태적 세계관의 정립이 필요하다. 필자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성령론의 반성과 고찰을 시작으로 생태적 세계관의 정립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성경과 기존의 신학 전통을 바탕으로, 인간만이 아니라 창조 전체와 성령의 내밀한 관계를 부각함으로써 성령에 기초한 인간과 자연의 통합적 관점과 자연의 본질적 가치를 제시한다. 이러한 성령론적 자연관은 생태적 세계관의 정립을 뒷받침한다. 또한 이렇게 제안된 성령론적 자연관을 현대의 자연과학이 제시하는 세계상과 사회 정의라는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의 현실세계에서도 이 자연관이 적절하고 의미가 있음이 드러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s a theological endeavor to establish an ecological world view, which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in order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today. The ecological crisis in our age is deeply related to anthropocentrism toward nature derived largely from the mechanistic world view. This anthropocentrism is characterized by the dualistic perspective on humanity and nature and an excessively instrumental view of nature for the usefulness of humans. We need an alternative view of nature, which integrates humans and nature and recognizes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that is, an ecological world view, so that we may negotiate this anthropocentric attitude toward nature. The author seeks to establish an ecological world view, by reflecting on and appropriating the Christian pneumatology. For this, on the basis of the Scripture and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by stressing the intimate connection of the Holy Spirit with the whole creation as well as with humanity, the author presents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humans and nature and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based on the Holy Spirit. This pneumatological view of nature supports an ecological world view. The pneumatological view of nature presented in this way is placed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scientific world view and social justice so that its relevance and significance in the real world today may be discovered.
목차
1. 생태 위기와 인간중심주의
2. 성령과 창조
3. 성령론적 자연관: 모든 피조물의 상호관계
4. 성령론적 자연관: 모든 피조물의 가치
5. 자연과학과 사회 정의의 측면에서 본 성령론적 자연관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