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Name of Medicines in Japanese in the Meiji Period and Suffixes of -藥 and -劑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이자호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25輯,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oots and usages of the Chinese suffixes -薬 and-劑 for the names of medicines found in 増補訂正英和字彙 (1882).
As 附音揷圖英和字彙 (1873)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英華字典 (Lobscheid 1866-1869), I examine whether 増補訂正英和字彙 (1882) is also influenced by 英華字典 (Lobscheid 1866-1869) with respect to the names of medicines. I also compare the aspects in the Kindaigo corpus (国立国語研究所), 和英語林集成(2版, 3版) and 藥品名彙 (1874).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suffixes-薬、-劑 used in the names of medicines in 増補訂正英和字彙 (1882) is adopted by 藥品名彙 (1874).
This research is conducted as part of a study on exchanges of words around 1880 between Japanese and Korean. The influence of these suffixes for Korean in the same period will be left for future study.
목차
1. 연구 내용
2. 연구 방법
3. 『英和字彙』의 「-藥」 과 「-劑」에 대한 英華字典의 영향
4. 근대어 코퍼스와 英和字彙의 「-藥」 과 「-劑」비교
5. 근대 일본의 대역사전(『和英語林集成』2版 및 3版)과의 비교
6. 근대 일본의 술어사전(『藥品語彙』)과의 비교
7.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