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선교신학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issiological Countermeasure of Child Abuse Crime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옥필훈(Pil-Hun Ok)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40집, 171~20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까지 이슈화되고 있는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아동복지 내지 아동보호에 관해서 살펴보고, 최근에 만들어진 특별법 등을 법적으로 검토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선교신학적인 방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동복지법에 의한 아동학대 라 함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 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말한다. 아동학대범죄의 원인론적 관점에는 정신병리학적 관점, 발달론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 생태학적 관점 등이 있다. 아동학대 전문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현재 먼저 학대행위자 유형 별로 친부모로부터 가장 높은 비율을, 다음으로 행위유형별로 볼 때 중복학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마지막으로 성별로 볼 때에는 여자가, 연령으로 볼 때에는 만 12~14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및 방임아동을 위한 관련법으로는 형법, 아동복지법,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2015년 10월 현재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전국에 54개소가 설치·운영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아동보호 서비스과정은 크게 볼 때 신고접수, 초기 사정·조사, 서비스의 계획, 서비스의 제공, 진척상황의 평가, 사례종 결의 6단계로 살펴볼 수 있다. 오늘날 이에 대한 기독교 아동복지 실천방안이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고 할지라도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의 정신을 본받아 전문성과 사회봉사에 대한 선교신학적인 검토와 실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ed current status of child abuse reported to the agencies for types of child abuse, locations where child abuse was occurred, current status of the services for child abuse cases in relation to the Missiological Countermeasure of Child Abuse Crime. To do this, a literature survey for the materials related to child abuse was conducted, including journals, statistics, book etc. As one of the critical issues, The term ‘child abuse’ is considered as the physical, sexual or emotional maltreatment or neglect of a child or children. Although the current korean legal systems related to child abuse are scattered across several laws and regulations, it is deemed necessary to revise the child welfare law and the child abuse special law in order to protect the child’s human rights effectively because the current laws shows the incomplete shape or indefinite aspect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s consists of six process including intake, initial assessment & investigation, service planning, service provision, evaluation of progress, and case termination. When we see the new model of child welfare, it is focused on holistic human which is responsible for child welfare to the spiritual well-being in view point of Christianity. The primary goal of the Christian life is oriented according to the Kingdom of Heaven. The Bible also realize the spirit of Jesus Christ’s love. In other words, by promo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ost children on the basis of God’s children the effective child welfare service should be aimed to bring abundant life. The Child welfare act in Korea shows construc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with the type of classification. Several ministry work related to child abuse can be responded be preaching or community seminars and so on. In future, Concerning social mission and social service in church and community, it will be effectively dealt with the expertise and special programs of child welfare in order to treat with the practical issue of child abuse within Jesus Christ.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배경
Ⅲ. 아동학대범죄의 실태와 아동복지서비스
Ⅳ.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선교신학적인 실천방안
Ⅴ.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Critical Reflection upon Pyungyang Great Revival in Light of Howard Snyder’s Fivefold Church-Renewal Dimension
- 로잔신학의 흐름에 있어서 우선순위 문제
-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선교신학적인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 기독교의 중국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비정규직 이해와 한국교회의 비정규직 선교의 과제
- 사이버세대를 향한 전도
- 이주민선교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국가 다문화교육 정책 고찰
- 다민족국가 선교전략에 관한 소고
- 재세례파의 선교적 이해와 적용 가능성 연구
- 로잔운동과 신학교육
- 도전받는 정의
- 조상제사와 상황화, 세계관, 그리고 성육신 선교
- 한국 선교단체들의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