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7
- 영문명
- The Impact of Empirical Organizational Learning on the Crisis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Chang Kil Lee Sangkyu Rhee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9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반복되고 있는 재난은 이론과 실제적인 측면의 경험적 학습이 관리정책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정부의 재난관련 지식정보와 경험이 실제로 위기해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과거 10여년의 주요 학술연구를 종합·분석하고, 대표적 재난의 증감률을 중심으로 경험의 영향을 유추하여 탐색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경험적 조직학습이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지식을 쌓고 적용하는 이론적 경험과 재난피해의 증감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 실제적 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식축적, 실제적 체험에 의한 경험적 조직학습 모두 인상적인 영향을 주거나 인과성을 찾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제적으로 재난피해 노력이 나타나지 않고, 반복적 문제점이 나타나는 바 조직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향후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학습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또한 그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장중심의 재난관리체계 운영, 재난예산 활용과 예방적 연구활동 역량 강화, 통합운영시스템 구축과 현장관리 전문성 강화, 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관리계획 구축과 운영 등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또한, 시민과 함께하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역량강화에도 조직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mpirical study aims to address a concern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lessons of the local governments from a series of disasters have not been reflected into their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We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for the past 10 years and explored a trend of the changes in typical types of disasters such as fire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The data analysis did not support the roles of accumulated knowledge or experiences as a determinant of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highlights an importance of operating the on-scene disaster management, facilitating research activities on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improving the on-scene professionalism, developing the disaster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local contexts, and involving the public into local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and capacity building.
목차
Ⅰ. 서론
Ⅱ. 조직학습에 관한 논의
Ⅲ. 경험적 조직학습의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로의 적용
Ⅳ. 지방자치단체 경험적 조직학습 역량 확보를 위한 제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석류 방재를 위한 사방댐에서의 충겨력 해석
- Intercultur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Tiger Woods Scandal
- Improvisation and Learning in an Emergency Response Agency
-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단 위치 변화에 따른 토석류 방재 모델링
- 강릉 남대천 수리권 재정립
- 군 간부들의 군 상담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중국 야로닝지역에서의 지하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 치매시부모 돌봄을 통헤 나타난 며느리의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재난심리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홍수 피해자의 경험분석
- Steep Slope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 119 구급상황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의 전염병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
- 수평굴착 기술을 활용한 도심지 지하붕괴 매몰지역의 긴급구호 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