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심리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홍수 피해자의 경험분석
이용수 410
- 영문명
- A Study on Floor Disaster Experience Analysis for Psychological Support Strategy Develop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eong Yee Bae Hee Hyun Kim Hyun Joo Park Hwa Ryeong Shin Hee Jeong Hong Hae Sook Soh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9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홍수피해의 재난을 경험한 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심리지원 전략개발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 되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심층면담과 관찰법을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이었다. 면담질문은 “홍수 피해의 과정에서 있었던 경험을 말씀해 주십시요”라는 포괄적인 질문으로 대화를 시작하였고 자료가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시간은 참여자별로 2∼3회 진행되었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평균 2∼3시간 정도이다. 자료 분석방법은 Colaizzi(1978)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그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재난피해자들의 경험은 생전 처음 재난을 경험함, 몸만 빠져나와 불편한 생활, 고통스러움, 재 피해에 대한 불안, 복구 및 보상, 지지, 주변을 돌아볼 여유와 감사함 7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재난피해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실무에서 재난이나 재해, 사고 후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이 필요하고, 재난이나 재해 후 재적응을 돕기 위하여 이전의 재난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심리적인 변화와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간호계 뿐만 아니라 교육계 전반으로 재해 및 재난에 대한 사전, 사후 교육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좀 더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한 교육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자연재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로서 재해 및 재난 이후 심리적 지원을 위한 전략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among the victims of flood disasters in Busan,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and unstructured audio-taped interviews of 12 flood disaster victims over a one-year period, asking abo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disaster. The Colaizzi's method was used for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which put their experiences into seven different categories: first-time experience in a flood disaster, discomfort with life without necessities, pain, anxiety about re-disaster, recovery and compensation, support, sympathy and gratitud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mediation program to help the disaster victims overcome the impacts of the accident or disaster, as well as the widespread adoption of pre- and post-disaster education programs throughout the nursing and education professions. Further studies can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post-disaster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석류 방재를 위한 사방댐에서의 충겨력 해석
- Intercultur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Tiger Woods Scandal
- Improvisation and Learning in an Emergency Response Agency
- 지방자치단체의 경험적 조직학습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단 위치 변화에 따른 토석류 방재 모델링
- 강릉 남대천 수리권 재정립
- 군 간부들의 군 상담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석
-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중국 야로닝지역에서의 지하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 치매시부모 돌봄을 통헤 나타난 며느리의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재난심리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홍수 피해자의 경험분석
- Steep Slope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 119 구급상황관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의 전염병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사적 고찰
- 수평굴착 기술을 활용한 도심지 지하붕괴 매몰지역의 긴급구호 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