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일관성 고찰
이용수 350
- 영문명
- Diversity and Consistency of the Silla Calligraph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정현숙(Jung, Hyun-sook)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7호, 4~50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 신라 서예는 고구려나 백제 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은 졸박함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본고는 신라 서예의 참모습을 찾 아보기 위해서 재료별로 나누어 글씨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진흥왕순수비를 제외한 나머지 6세기 석비는 모두 자연석이고, 따라서 그 글씨의 장법과 결구도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그 서체는 모두 예서의 필의가 있는 해서이며, 서풍도 고박함으로 신라색을 표현했다. 다음으로 6세기 묵서명의 글씨는 초솔하고, 6-7세기에 토기에 직접 음각한 초서는 유창하여 신라 말기의 서예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목간은 문서목간과 꼬리표목간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비교적 정연 하게, 후자는 대부분 투박하게 써 내용에 따라 서자의 마음가짐이 다름을 보여준다. 꼬리표목간의 글씨는 6세기 금석문의 글씨와 유사한 분위기를 풍긴다. 본고는 신라의 서자들은 주어진 서사 환경을 적절하게 이용한 탁월한 구성으로 글씨의 다양한 모습을 표현했으며, 동시에 자신만의 고유한 색깔을 잘 드러내고 있 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는 그들이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주관적인 서예미감을 지녔다는 것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eek the real characteristics of the Silla calligraphy. I performed it by dividing the materials into three parts: stone inscription, ink-writing and clay inscriptions, and wooden tablet writing. First, the shape of all stone inscriptions except the monuments commemorating King Jinheung’s tour is natural, and in order to accord with the shape the total composition and each character’s composition followed it. Despite the difference of composition, all the writings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clerical script, and calligraphic style is simple and naive following the character of natural stone. Second, the calligraphic style of ink-writing inscription in regular script is wild and carefree, and that of clay inscription in draft script is flowing. Third, the calligraphic style of wooden tablets is somewhat different in use. The document tablet was written in neat style and label tablet in free style. It tells us that the calligraphic style showing the writer’s mind changes if its content is different. Thus, Silla writers demonstrating diversity and consistency at the same time in their own possessed excellent esthetic sense in calligraphy.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자·한문의 수용과 발전
Ⅲ. 결구의 다양성과 서풍의 일관성
1. 고박하고 토속적인 석비 글씨
2. 초솔한 묵서명·유창한 토기명 글씨
3. 순박하면서 강건한 목간 글씨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御筆形成에 관한 書藝的 考察
- 蔡邕 『筆論』에 나타난 ‘書者 散也’의 書藝美學的 考察
- 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일관성 고찰
- 한글서예 서체명칭의 통일방안 연구
- 조선시대 한글 서체의 微加減法에 관한 고찰
- ‘書如其人’에 대한 管窺
- 조선중기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에 관한 고찰
- 근대 전북서단의 흐름에 관한 고찰
- 東國眞體 서가의 독창적 自家體 창출에 관한 실증적 고찰
- 項穆 『書法雅言』의 創作論에 관한 고찰
- 秋史 金正喜의 書藝精神論에 대한 考察
- 南漢山城 金石文의 書藝史的 考察
- 조선시대 한글 發記의 서예사적 意義 및 궁체의 典型 모색
- 『옥원중회연』 한글 필사본의 서지학 고찰과 서사기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