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과 예비교사를 위한‘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과 적용
이용수 1,53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완(Lim, Jeongwa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21권 제2호, 157~1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flipped learning and to explore the way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 English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s of English. As a format of blended learning, flipped learning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prior learning that allows students to learn in advance through previewing online lessons and video clips related with the classroom content to be covered. During class time, individualized supplementary or in-depth study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prior learning.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flipped learning pursuant to such considerations. A total of 35 senio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new model of flipped classroom and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and simple survey. Overall their negative responses about the class were due to extra work for prior learning and lack of enough class discussions. Future direction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to teacher preparation cours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영어과 거꾸로 수업 모형
Ⅳ. 거꾸로 교실의 적용 사례
Ⅴ. 결론 및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Impact of CPD on Teacher Perception, Motivation, and Confidence : A Case Study of Two Korean English Teachers
- The Effect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on Korean EFL Learners’ Article Accuracy
-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Ac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 A Study on English Language Learning Strategy Use by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한국 대학생의 영어 학습 탈동기 요인 분석
- Innovative Ideas for a College English Program : Voices from 71 International Faculty Members
- 피드백 유형이 대학생의 영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창립 20년사의 역사적 회고와 미래 발전 방향
- 영어과 예비교사를 위한‘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과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