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iplinary Identification of Educational Ideas Ⅱ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김석완(Kim Suk Wan)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9권 제3호, 49~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교육사상의 학문적 정체성"(교육사상연구, 27-1)의 후속 연구이다. 교육사상은 하나의 논리와 통일적 설명으로 해명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니는 말이다. 따라서 교육사상이라는 낱말의 단일한 본질이나 그것이 가리키는 지시적 대응관계가 아니라 교육사상이라는 표현이 그 구체적 사용의 맥락에서 드러내 보이는 의미작용의 다양성과 복잡성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이 기르기와 관련된 느낌이나 감정, 풍속이나 습관, 신념이나 사유 그리고 지성, 상상이나 공상이 일상의 삶 속에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의미작용과 그것이 낳는 관습적ㆍ제도적 결과 모두 교육사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교육사상 연구는 추상적 개념이나 이론이 아닌 구체적 보편을 추구한다. 이것은 고유한 생명 현상을 다루되 초월적 보편성을 지향한다. 교육사상 연구의 심층구조는 크게 세 가지 계기로 이루어진다: 첫째, 교육사상의 배경이 되는 구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과 이해하고, 둘째, 연구자의 현시대적 수용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셋째, 궁극적으로 자아전환을 목표로 한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주체성과 도덕성을 긍정하되 시비선악을 가리거나 가치를 판단하지 않고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인 설명과 이해를 추구한다. 이것은 칸트의 철학적 사유의 틀이 교육사상 연구와 관련하여 제안하는 내용이다. 교육사상 연구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긍정하는 실천이성을 전제한 가운데 사변이성의 직관과 개념, 감성과 지성, 경험과 이성을 통해 생명 현상으로서의 교육적 삶을 해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t looks difficult to clarify the expression 'educational ideas' with unified explanation. Because this phrase has been formed through diverse paths. So it'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ts signification depending on specific contexts.
The research object of educational ideas covers from feelings and emotion, customs and practices, belief and thinking and intellect to imagination and fiction with regard to educating childre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however, is not oriented to abstract universality of objects or phenomena with concept and theory, but aims to concrete universality that is specific to life. The deep structure of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at is: first,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concrete reality that is the background of educational ideas, second, current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researcher about the research on historical contemporary, third, self conversion.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is oriented to objective and value-neutral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ffirming subjectivity and morality. This is what Kant's philosophy is to suggest about research of educational ideas.
목차
<요약>
Ⅰ. 교육사상에 대한 정체성 논의가 필요한가?
Ⅱ. 다시, 사상과 교육사상에 대해
Ⅲ. 교육사상 연구의 기본 성격과 논리: 교육적 실감에서 심층구조로
Ⅳ.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과 교육사상 연구
Ⅴ. 교육사상 연구의 전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