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herence and Inevitability of Violence : Reading SuTong’s rice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저자명
- 金俸延
- 간행물 정보
- 『중국소설논총』제43집, 225~24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nherence and inevitability of violence through sutong(蘇童)’s first long novel rice(《米》). Primarily in this work, the rice is a symbol of human instinct and desire. but it change in quality as a means of damage to human dignity. This means instinct and desire of individuals to be a source to induce others to violence. Violence story of rice awaken widespread violence of reality. In this story, the city plays a role the various aspects in life converges to the conflict and collision. at that same time, characters of this novel imitate the violence each other, and accept violence as a way of handling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rice show properties of violence that interactive and cyclical. The one of reasons why we reading violence in novel is that can happen in reality. violence that wulong(五龍) exercised and happened in wajiangjie(瓦匠街) is not a individual case with unique personality and in a specific place. because they can not ignore structural similarity and continuity. violence that wulong exercised cause from aspects self-protection when threaten the survival and dignity, escalate in the conscious superiority to others. wajiangjie is a universal space that universal tendency of humans gathered. But when to be a group that universality with an individual may arise non universal situation, and that time, violence to be a major phenomenon. Because of them, although wajiangjie exist as a ‘the stat of nature’, but overlap with in the city the appearance of capitalism. Imbalance of social polarization and unlimited competition between individuals that a byproduct of the city always test Individuals with limitations, in this process, automatically mass produce ‘nonentity’. in addition, law and system in city and nation is returned as to be a moral and material violenc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쌀’ - 생명의 상징에서 폭력의 수단으로
3. ‘非情城市’ - 폭력이 확산되는 공간
4. 겹쳐진 폭력이 만들어 내는 풍경들
5. 나오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