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ACUM을 이용한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직무분석 연구

이용수  150

영문명
The Research on Job Analysis of Emergency Preparedness Business Representatives by DACUM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박경환(Keong Hwan Park) 박효선(Hyo Su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6호, 69~9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부활과 관련하여 국가 위기관리를 위한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직무분석을 통해 그들의 책무와 과업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안전행정부에서 임명한 정부기관 및 동원업체의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표적인 직무분석 기법인 DACUM을 활용하여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과업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대비업무담당자에 대한 8개의 책무와 101개의 과업이 도출되었으며, 최종 전문가 패널의 내용타당도 검토 및 설문결과 총7개의 책무와 81개 과업으로 정리 되었다. 둘째,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책무의 중요도는 ‘비상대비분야 사업계획 수립’, ‘충무계획 수립’, ‘을지연습’, ‘동원자원관리’, ‘민방위관리’ 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을지연습과 충무훈련의 책무에서 12개의 과업이 중요도가 높은 핵심과업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소속 및 직급별 대상으로 직무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직무분석을 토대로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나아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연계한 교육과정 및 자격의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re is a purpose to correct Emergency services Officers' duties and tasks through their job analysis f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regarding reinstat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ational Security Council(NSC).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s the government agency nominated by Safety executive and Emergency service officers of appointed companies for mobiliz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mergency services officer's duty and task was drawn by utilizing the classic job analysis, I. e. DACUM,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rived that 8 pieces of duties and 101 pieces of tasks about Emergency services officer, and 81 pieces of tasks and duties of a total of seven were organized after survey results and content validity study of the final expert panel. Second, there were high orders of the importance on the responsibility of Emergency services Officer; Establishment of emergency services office, Establishment of Choongmu plan, ulgi practice, Mobilize resources management, and Civil Defense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challenges of twelve has been derived as a core issue of high priority in two duties of Choongmu plan and ulgi practice. This study show the necessity of the job analysis aimed to the job grade and affiliation of Emergency services Officers. And, we derive the core abilities of Emergency services Officer on the basis of these job analysi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in conjunction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환(Keong Hwan Park),박효선(Hyo Sun Park). (2015).DACUM을 이용한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 (6), 69-95

MLA

박경환(Keong Hwan Park),박효선(Hyo Sun Park). "DACUM을 이용한 비상대비업무담당자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6(2015): 69-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