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언론의 질병관련 위험보도에 관한 특성연구

이용수  505

영문명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Press’ Disease-related Risk Reports - Focusing on the News Reports of Ebola Virus -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송해룡(Hae Ryong Song) 조항민(Hang Min Cho)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6호, 45~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세계적인 위험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주제로 하여 국내 방송매체들(지상파, 종합편성채널, 보도전문채널)의 질병관련 보도경향을 위험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도특성(보도의 심층성, 보도의 사실성, 보도의 취재경로, 보도에 있어서의 취재원 활용, 보도의 방향성), 그리고 뉴스 프레임의 특성(프레임의 형식, 프레임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언론들의 질병보도에 대한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우리 언론의 에볼라 바이러스 보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측면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은 보도의 사실성 측면에서 ‘사실 중심적(fact)기반’ 보도들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보도의 취재경로에 있어서 외부 정보들을 단순 활용하기보다는 자체적으로 취재를 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보도의 방향성이 ‘부정’, ‘긍정’이 이분법적 논리에 치우치지 않고 ‘부정-긍정’의 균형성을 담보하는 중립적 방향성을 상당부분 견지했으며, 프레임 분석의 형식적 측면에서 사건을 표피적으로 분석한 일화중심 프레임보다는 발생원인, 해결책을 사회적 환경과 연관하려 찾으려는 주제중심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반면, 에볼라 바이러스 보도에 있어서 부정적 측면은 특정한 이슈(에볼라 환자발생, 전파 등)에 보도량이 증가하는 경향성이 강했으며, 기사의 심층성 차원에서 단면적이고 일면적인 ‘사건(발생)’보도에 집중이 되었고, 전문성이 높은 의학/과학기자의 보도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보도의 취재원 활용이 주로 국내외의 정부기관에 집중되었으며, 프레임 분석의 내용적 측면에서는 에볼라 문제의 심각성, 통계, 숫자 등을 통해서 위험을 강조하는‘위험 프레임’이 가장 강조되는 프레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rgeting Ebola virus that is currently emerging as a risk issue over the world, analyzed the disease report trend of domestic broadcasting media(ground waves, comprehensive channels, and news report channels) in the level of risk communication. Specifically, report characteristics(depth of report, truth of report, coverage path of report, use of news sources in report, and directivity of report) and news frame characteristics(type of frame and content of frame)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the domestic press’ disease report could be found. First, the positive aspects of the domestic press’ Ebola virus report were that, regarding truth of report, reports were mostly ‘fact-based’ reports, and regarding coverage path of report, the press tried to cover issues by itself rather than to simply use external information. Next, regarding directivity of report, directivity was not deteriorated by the dichotomous logic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but was made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m, and regarding type of frame, topic-oriented frame to find solutions considering the social environment was more importantly used than anecdote-oriented frame to analyze incidents in the superficial level.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aspects of the domestic press’ Ebola virus report were that the amount of report strongly tended to increase for specific issues(case of Ebola, spread of patients, etc.), the press focused only on fragmentary ‘case(incident)’ report regarding depth of report, and professional medical/science reporters rarely participated in report. In addition, use of news sources in report was mostly concentrated on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al institutes, and in the aspect of content of frame analysis, it turned out that ‘risk frame’ focusing on risks through the severity, statistics, and numbers of the Ebola problem was the mostly stressed frame.

목차

Ⅰ. 서론: 문제제기
Ⅱ.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검토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해룡(Hae Ryong Song),조항민(Hang Min Cho). (2015).국내언론의 질병관련 위험보도에 관한 특성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 (6), 45-68

MLA

송해룡(Hae Ryong Song),조항민(Hang Min Cho). "국내언론의 질병관련 위험보도에 관한 특성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6(2015): 4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