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Tension and Creative Behaviors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김익택 서수석 Kim, Iktaik Seo, Sooseog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3권 제4호, 27~4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적응적 긴장이 창의성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 적응적 긴장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5 개의 제조기업으로 부터 관리자와 사무직 사원 846 개의 표본을 추출하여 실증연구하였다 . 연구결과 , 적응적 긴장은 창의성의 원천이며 , 변혁적 리더십 행위가 활발할수록 , 적응적 긴장은 창의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 이 연구의 학문적 함의는 창의적 행동에 대한 동기유발 자원의 스펙트럼을 적응적 긴장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 실무적으로는 변혁적 리더십 행위가 활발할 때 , 적응적 긴장은 구성원의 창의적 행동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이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는 동일방법오류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고 , 적응적 긴장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가 곡선관계일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ol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tween adaptive tension and creative behaviors.
846 samples of office workers and managers from five different enterpri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adaptive tension is a source of creativity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tension & creative behaviors. That is,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adaptive tension is observed.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pectrum of motivation resources from intrinsic motivation to adaptive tension. Moreover, this study practically suggests that CEOs use adaptive tension to speed the collective intelligence for creativity. The resolution of this study appears to be limited as it is common method bias & a probability of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tension & creative behaviors; thus, this next study is needed for a rigid confirmation of relevant hypothesi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모델 및 가설
IV. 실증분석
Ⅴ.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