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93
- 영문명
- A Study on Yulgok and Toegye 'Xing (a sort of delight)' Spaces Focusing on Sohyeon Seowon and Dosan Seowon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난수 Lee NanSu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207~224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성리학을 대표하는 율곡과 퇴계의 작품에 표현된 ‘흥’과 그 공간을 탐구한 것이다. 작품에서 고산 구곡과 도산이라는 공간은 강학을 위해 서원을 세운 곳으로, 세상과 구별되는 장소이자 그들의 마음과 정신이 자연과 하나가 되는 공간이다. 즉 그들은 이러한 공간에서 눈앞에 펼쳐진 자연과 더불어 학문에 매진하며 정신적 자유의 상태를 경험하였다. 이를 테면 율곡의「 高山九曲歌 」(고산구곡가)는 해주 석담의 자연경관을 ‘구곡’으로 나누어 그곳에서의 삶을 노래한 작품이다. 고산 구곡의 아름다움과 그 안에서 느끼는 즐거움은 몸과 정신의 수양이 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陶山二十六詠」(도산이십육영)은 퇴계가 만년에 도산(陶山)을 경영 하면서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을 읊은 시로,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이치를 통해 자연을 즐기는 모습이 담겨져 있다. 이렇듯 율곡과 퇴계의 작품에는 자연과의 일체감 에서 생성된 즐거움인 ‘흥(興)’이 표현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s and spaces of 'Xing(a sort of delight)' expressed in the works of Yulgok and Toegye, who were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ir works, Gosangugok and Dosan were spaces not disconnected from the world but still distinguished from it, and they were 'Xing' spaces where mind and spirit become one with nature. In other words, they were not unrealistic ideational spaces but places where people experienced the state of mental freedom before nature open in front of them. Yulgok’s Gosangugokga is a poem that divided the natural scenery of Seokdam in Haeju into ‘Gugok (Five River Bends)’ and recited the life in the place. The beauty of Gosangugok and the joy of life in the beauty mean the profound cultivation of body and mind. Dosanisipyukyeong is a poem that Toegye composed on the space where he stayed while running the School of Dosan in his later years. This poem describes the poet’s realization of natural laws and his enjoyment of nature through the laws.
목차
Ⅰ.들어가며
Ⅱ.「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에 나타난 소현서원의 ‘흥(興)’ 공간
Ⅲ.「도산이십육영(陶山二十六詠)」에 나타난 도산서원의 ‘흥(興)’ 공간
Ⅳ.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려인 3세 류드밀라 지니나-최의 시 세계 고찰
- 부산 배경 영화에 나타난 폭력
- 日本近代詩の中の<海洋>- <抒情>の海から<観念>の海へ
- 조선후기 국왕 경연(經筵)과 에도시대 천황 시독(侍讀) 비교연구
- 송대 「오등회원(五燈會元)」 시도의미조사 “간(看)” 분석 *
- 탈북(脫北) 디아스포라에 대한 남한 사회의 배제와 포용에 관하여
- 강신재 해방촌 가는 길 에 나타난 폭력적 시선과 젠더정체성
- 15세기 국어 격 교체의 유형과 통사적 특성
- 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 영화 <해무>의 서사 분석
- 통일교육의 로컬리티 관점 개발
- 우리나라 가계부채위기의 재평가
- 산업화 초기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부품산업정책 비교 · 분석
- 조선중기 과거시험에 대한 미시적 연구
- 유럽연합으로의 아세안 수출에 대한 미국의 역할
- 폭력의 근원과 전이
- 시리아 기독교인들의 정체성과 생존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