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화 <해무>의 서사 분석
이용수 398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Haemoo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이석 Kim Iseok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1호, 337~361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심성보의 영화 <해무>는 김민정의 동명 희곡을 영화로 옮긴 작품이다. 밀입국자들을 수송하던 전진호라는 어선에서 발생한 참극을 소재로 한 <해무>는 한계상황에 처한 인간의 야만적인 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물신주의에 사로잡힌 대한민국 사회의 문제점을 고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심성보의 <해무>와 김민정의 원작「해무」를 비교 하면서 연극에서 영화로 각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난 서사의 확장 및 변형, 등장인물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 이것이 작품의 주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 보고 있다. 특히 이 논문은 영화 <해무>가 한국사회에 대한 일종의 알레고리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해무>는 포스트 IMF시대의 눈으로 IMF시대를 되돌아 본다. 극한 상황에 처한 전진호 선원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사유와 판단을 포기해 버린다. 이런 그들의 행태들은 이른바 ‘IMF 시대’라고 불리던 1990년대 후반 한국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 영화는 선과 악이라는 윤리적 문제를 다룬 작품이기도 하다. 전진호의 선원들은 자신들의 생존 자체를 ‘선’이라 여긴다. 반면 홍매라는 여인과의 사랑을 통해 자신만큼이나 타인의 존재가 소중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동식은 홍매를 위해 그리고 보편적인 도덕률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영문 초록
Haemoo is the first feature film directed by Shim Sung-bo. This film is adapted from an play of the same name written by Kim Min-jung in 2007. Based on the true story that happened in 2001, the film deals with an accident that took place in the fishing vessel Jeonjinho. First, this article compares plot, characters and theme between Kim Min-jung’s original play and Shim Sung-bo’s adapt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examine the problem of human nature in front of critical situations. Secondly, we consider this film as an metaphor of Korean society. During the ‘IMF era’, Korean society met not only the economic crisis but also the ethical and moral. Through the behavior of Jeonjinho’s crews, Shim Sung-bo denounced the Korean society. Lastly, this film introduces the ethical problem. Dong-sik, young hero of the film, defense the value of humanity by opposing his depraved colleagues. Through the last scene in which two lovers meet again, Shim Sung-bo reconciles conflicts; altruism/selfishness, good/evil,individuality/
collectivity, love/desire etc.
목차
Ⅰ. 서론
Ⅱ. 연극에서 영화로
1. 서사의 변형과 확장 2. 등장인물의 변화 3. 시각화
Ⅲ. 실화 vs 우화
1. 태창호 vs 전진호 2. IMF
Ⅳ. 메인플롯과 서브플롯
1. 메인플롯과 서브플롯의 충돌과 역전 2. 열린 결말과 해피엔딩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려인 3세 류드밀라 지니나-최의 시 세계 고찰
- 부산 배경 영화에 나타난 폭력
- 日本近代詩の中の<海洋>- <抒情>の海から<観念>の海へ
- 조선후기 국왕 경연(經筵)과 에도시대 천황 시독(侍讀) 비교연구
- 송대 「오등회원(五燈會元)」 시도의미조사 “간(看)” 분석 *
- 탈북(脫北) 디아스포라에 대한 남한 사회의 배제와 포용에 관하여
- 강신재 해방촌 가는 길 에 나타난 폭력적 시선과 젠더정체성
- 15세기 국어 격 교체의 유형과 통사적 특성
- 율곡(栗谷)과 퇴계(退溪)의 ‘흥(興)’ 공간에 대한 연구
- 영화 <해무>의 서사 분석
- 통일교육의 로컬리티 관점 개발
- 우리나라 가계부채위기의 재평가
- 산업화 초기 한국과 일본의 자동차부품산업정책 비교 · 분석
- 조선중기 과거시험에 대한 미시적 연구
- 유럽연합으로의 아세안 수출에 대한 미국의 역할
- 폭력의 근원과 전이
- 시리아 기독교인들의 정체성과 생존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