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히스타민/비만세포 안정화 복합제재의 결막세포에 대한 효능 비교
이용수 22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opical Antihistamine/Mast Cell Stabilizers in vitro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수진 윤태진 이지은 이종수,Su Jin Kim, MD, Tae Jin Yoon, MD, Ji Eun Lee, MD, PhD, Jong Soo Lee,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3, 406~41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15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biologic effects of topical anti-allergic agents with H1-receptor antagonism and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s in the cultured conjunctival cells of patients with vernal keratoconjunctivitis in vitro. Methods: Conjunctival cells of vernal keratoconjunctivitis were exposed to the anti-allergic agents SCD-P101 (Fexofenadine, Samchundang, Korea), PatanolⓇ (Alcon, USA), ZaditenⓇ (Novartis, USA), and AzelanⓇ (Taejoon, Korea). Efficacy of the topical antihistamine/mast cell stabilizers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rocollagen and inflammatory cytokines. Cell damage was determined using the lactate dehydrogenase (LDH) assay with dilution rates of 10, 20, and 30% and compared with the balanced salt solution-treated group. Cellular morphologic results were examined by inverted light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microscopy. Results: Metabolic activity of conjunctival cells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and longer exposure durations, except for the SCD-P101 agent. The procollagen, laminin, IL-6 and IL-8 titers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in the eyes exposed to all the anti-allergic drugs tested in this study, but the concentration of TNF-β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ZaditenⓇ and AzelanⓇ tended to show a greater LDH titer and edema, as well as cytoplasmic and nuclear degeneration of the conjunctival cells than did SCD-P101 or PatanolⓇ. Conclusions: Cellular metabolic 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new anti-allergic agent SCD-P101. SCD-P101 and PatanolⓇ caused marginally less damage to cultured conjunctival cells than did ZaditenⓇ and AzelanⓇ.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3):406-417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축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 두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안에서의 굴절률과 시기능 비교
- 망막 낭포가 동반된 코우츠병 환아 1예
- Schnyder씨 결정각막이상증 가족의 UBIAD1 유전자의 N102S 돌연변이
- 건성안 환자의 눈물내의 케모카인 리간드4의 농도와 눈물표면인자와의 상관관계
- 알포트 증후군과 동반된 양안 장액망막박리 1예
- 항히스타민/비만세포 안정화 복합제재의 결막세포에 대한 효능 비교
- 정상안과 펨토초레이저 라식수술안에서 서로 다른 4가지 각막두께 측정계들의 중심각막두께 비교
- 단순 열공망막박리에서 일차 유리체절제술과 공막돌륭술의 치료성적 비교
- 백내장과 녹내장이 합병된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Visual Field Index의 변화
- 변형된 광역학 요법으로 치료한 유방의 침윤성 관상암종의 맥락막 전이 1예
- 망막분지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단기효과와 형태학적 분석
- 소버린과 인피니티의 직선운동초음파수정체유화가 각막내피에 미치는 영향과 수술유발난시도의 비교
- 안와 상부에 위치한 구후부의 안와 해면혈관종- 상안와를 통한 제거 1예
-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강속 베바시주맙 주사의 임상효과
-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당뇨환자의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의 분석
- 정상안압 및 원발개방각녹내장 사이의 Primary Vascular Dysregulation 비교
- 토끼에서 근절제술 후 베바시주맙 결막하주사 효과
- 해면정맥동에서 발생한 연골육종에 의한 눈운동장애 1예
-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로 완치된 안허혈증후군 1례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와 전방각의 변화
- 당뇨황반부종에서 시간과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황반두께의 반복성과 일치도
- 각막벌침손상에 의한 각막내피세포 변화
- 사시수술 중 직근절제시 근육훅의 견인으로 인한 수술양의 오차 - 제1보
- 섬유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이 활성산소종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휴대형 자동, 수동형 및 탁상형 자동 각막곡률검사기로 측정한 각막곡률의 신뢰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