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성안 환자의 눈물내의 케모카인 리간드4의 농도와 눈물표면인자와의 상관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CCL4 Concentration in Tears of Dry Eye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Tear Surface Parameter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승현 임성규 윤경철,Seung Hyun Lee, MD, Seoung Kyu Im, MD, Kyung Chul Yoon,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3, 313~31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CL4/MIP-1β in tears of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tear surface parameters. Methods: Forty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seve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nd 33 non-Meibomian gland dysfunction patients) and 25 control subjects were recruited. The concentrations of CCL4 in tears were measured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correlations between CCL4 levels and tear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tear film break-up time (BUT), basal tear secretion (BST), tear clearance test (TCR), corneal sensation, keratoepitheliopathy (KEP) and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GCD) were analyzed in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Results: The mean levels of MIP-1β were 4.3±5.2 pg/ml in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and 81.6±294.3 pg/ml in control subjects (p=0.03). The mean levels in non-Meibomian gland disease patients (90.4±313.9 p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patients (20.3±23.2 pg/ml, p=0.02). CCL4 level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ST, TCR, KEP and GCD (p<0.05). Conclusions: The level of MIP-1β is elevated in tears of patients with dry eye syndrome and correlates with disease severity and tear surface parameters.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3):313-31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축 미세절개 백내장 수술 후 두 비구면 인공수정체 삽입안에서의 굴절률과 시기능 비교
- 망막 낭포가 동반된 코우츠병 환아 1예
- Schnyder씨 결정각막이상증 가족의 UBIAD1 유전자의 N102S 돌연변이
- 건성안 환자의 눈물내의 케모카인 리간드4의 농도와 눈물표면인자와의 상관관계
- 알포트 증후군과 동반된 양안 장액망막박리 1예
- 항히스타민/비만세포 안정화 복합제재의 결막세포에 대한 효능 비교
- 정상안과 펨토초레이저 라식수술안에서 서로 다른 4가지 각막두께 측정계들의 중심각막두께 비교
- 단순 열공망막박리에서 일차 유리체절제술과 공막돌륭술의 치료성적 비교
- 백내장과 녹내장이 합병된 환자에서 백내장 수술 후 Visual Field Index의 변화
- 변형된 광역학 요법으로 치료한 유방의 침윤성 관상암종의 맥락막 전이 1예
- 망막분지정맥폐쇄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단기효과와 형태학적 분석
- 소버린과 인피니티의 직선운동초음파수정체유화가 각막내피에 미치는 영향과 수술유발난시도의 비교
- 안와 상부에 위치한 구후부의 안와 해면혈관종- 상안와를 통한 제거 1예
-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강속 베바시주맙 주사의 임상효과
-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당뇨환자의 백내장 수술 후 황반부종의 분석
- 정상안압 및 원발개방각녹내장 사이의 Primary Vascular Dysregulation 비교
- 토끼에서 근절제술 후 베바시주맙 결막하주사 효과
- 해면정맥동에서 발생한 연골육종에 의한 눈운동장애 1예
-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로 완치된 안허혈증후군 1례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백내장 수술 후 전방깊이와 전방각의 변화
- 당뇨황반부종에서 시간과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황반두께의 반복성과 일치도
- 각막벌침손상에 의한 각막내피세포 변화
- 사시수술 중 직근절제시 근육훅의 견인으로 인한 수술양의 오차 - 제1보
- 섬유주세포에서 고농도 포도당이 활성산소종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휴대형 자동, 수동형 및 탁상형 자동 각막곡률검사기로 측정한 각막곡률의 신뢰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