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축장이 짧은 안에서 인공수정체도수 산출 공식과 전방 깊이에 따른 정확성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s According to the Formulas and Anterior Chamber Depth in Short Eye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영은 최규룡 전루민,Young-Eun Lee, MD, Kyu-Ryong Choi, MD, Roo Min Jun,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0, 1338~134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IOL) power calculations according to the chosen formulas and anterior chamber depth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57 eyes of 50 patients (axial length < 22.0 mm) and 42 eyes of 36 patients (22.0 mm ≤ axial length < 25.0 mm)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IOL power was calculated with the SRK II, SRK/T, Binkhorst, Holladay I, and Hoffer Q formul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dicted refraction and the actual refra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errors according to the anterior chamber depth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SRK II formula showed a lower predictive accuracy, and the other formulas showed similar accuracie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The Holladay 1 and Hoffer Q formulas showed good predictive accuracie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Hyperopic shift tended to occur with all formula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When using SRK II and SRK/T formulas, a correlation between axial length and hyperopic shift was observed, with shorter axial length patients shifting to more hyperopic condition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larger hyperopic shifts tended to occur in eyes with relatively deeper anterior chambers. Conclusions: In eyes with short axial lengths, preoperative predicted IOL power showed good accuracies with Holladay 1 and Hoffer Q formulas. Preoperative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accuracies of predicted IOL power.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0):1338-1344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판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 25의 타당성 및 신뢰도 연구
- 외상으로 인한 각막혼탁 환자에서 RGP렌즈의 시력교정 효과
- 동공부등을 동반한 2형 와덴버그증후군 1예
- 건성안을 동반한 갑상샘안병증에서 0.05%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 사용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비특이성안와염에서 고용량 부신피질호르몬 주사요법의 효과
- 굴절조절내사시에서 시력과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가림치료 중 우세안의 시력이 약시안보다 낮아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눈 피로의 객관적 평가 방법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의 무증상 반대쪽 눈의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 각막굴절교정수술 이후 안압 상승의 위험인자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 패턴 광응고술과 기존의 광응고술과의 효과 비교
-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동반된 망막하액 축적 1예
- 점안제로 오인하여 사용한 순간접착제에 의한 안손상의 임상양상 및 예방법
- 교정나이 3세가 된 미숙아의 굴절이상, 약시 및 사시
-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한 전포도막염 1예
- 안와와 전신에 동시 다발성으로 발생한 재발성 포상연부육종 1예
- 역기하렌즈 착용 전 요인들이 착용 후 시력에 미치는 영향
- 베바시주맙 안내주입술로 호전된 하층망막박리를 동반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징병신체검사에서 의뢰된 성인 약시 환자의 무늬시유발전위의 양상
- 안축장이 짧은 안에서 인공수정체도수 산출 공식과 전방 깊이에 따른 정확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