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림치료 중 우세안의 시력이 약시안보다 낮아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이용수 15
- 영문명
- Decreased Visual Acuity of Dominant Eye Compared to Amblyopic Eye During Occlusion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상훈 장혜란,Sang Hoon Park, MD, Hae Ran Chang,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0, 1374~137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VA) of the dominant eye as compared to that of the amblyopic eye during occlusion therapy. Methods: The authors analyzed clinical features of 28 patients with VA reversed between the two eyes during occlusion therapy among 500 patients treated with occlusion therapy under the diagnosis of monocular amblyopia, Results: Twenty-one patients with strabismic amblyopia (SA), five patients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AA) and two patients with combined amblyopia (CA)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Decreased VA of the dominant eye as compared to that of the amblyopic eye occurred 66.75 ± 83.63 weeks after the onset of occlusion therapy. Reversion of VA between both eyes occurred during amblyopia treatment in 17 patients and during maintenance therapy in 11 patients. The reversed VA was recovered in all patients. The mean duration (MD) of reversed VA was 15.00 ± 24.43 weeks, and the number of clinic visits (CV) was 4.68 ± 8.65. In five patients, the MD of reversed VA (59.80 ± 30.14 weeks, p = 0.016) and the number of CVs (18.40 ± 14.48, p < 0.001)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of the other 23 patients (MD of reversed VA: 5.78 ± 4.04 weeks, number of CV: 1.70 ± 1.22); those five patients had low compliances and SAs. Conclusions: Visual acuity was recovered in all patients with decreased VA of the dominant eye as compared to that of the amblyopic eye during occlusion therapy, rapid recovery was observed in most patients except in several patients with low compliance.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0):1374-1379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판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 25의 타당성 및 신뢰도 연구
- 외상으로 인한 각막혼탁 환자에서 RGP렌즈의 시력교정 효과
- 동공부등을 동반한 2형 와덴버그증후군 1예
- 건성안을 동반한 갑상샘안병증에서 0.05%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 사용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비특이성안와염에서 고용량 부신피질호르몬 주사요법의 효과
- 굴절조절내사시에서 시력과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가림치료 중 우세안의 시력이 약시안보다 낮아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눈 피로의 객관적 평가 방법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의 무증상 반대쪽 눈의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 각막굴절교정수술 이후 안압 상승의 위험인자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 패턴 광응고술과 기존의 광응고술과의 효과 비교
-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동반된 망막하액 축적 1예
- 점안제로 오인하여 사용한 순간접착제에 의한 안손상의 임상양상 및 예방법
- 교정나이 3세가 된 미숙아의 굴절이상, 약시 및 사시
-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한 전포도막염 1예
- 안와와 전신에 동시 다발성으로 발생한 재발성 포상연부육종 1예
- 역기하렌즈 착용 전 요인들이 착용 후 시력에 미치는 영향
- 베바시주맙 안내주입술로 호전된 하층망막박리를 동반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징병신체검사에서 의뢰된 성인 약시 환자의 무늬시유발전위의 양상
- 안축장이 짧은 안에서 인공수정체도수 산출 공식과 전방 깊이에 따른 정확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