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atterned and Conventional Laser Photocoagulation in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박영근 지동현 양지욱,Young-Gun Park, MD, Dong Hyun Jee, MD, Ji-Wook Ya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1,number10, 1368~137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 and complications between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with short exposure time and conventional laser photocoagulation for neovascularization in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36 patients (39 eyes) who required laser photocoagulation for neovascularization due to BRVO.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group (laser exposure time 0.02 sec, 3 × 3 array patterned photocoagulation) and conventional laser photocoagulation group (laser exposure time 0.2 sec). Other laser parameters (burn intensity and spot size) were the same. Pain score at the time of treatment was monitored after the laser photocoagulation. In additio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s well as central macular thicknes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the treatment and after 2, 4, 8, and 12 weeks. The regression of neovascularization in fluorescein angiography was monitored during follow-up periods. Results: The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group had a greater reduction in pain during laser photocoagulation, and a decreased change in central macular thickness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than the conventional laser photocoagulation group. In particular, the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at postoperative 8 and 12 weeks. The regression rate of neovascularization between the 2 group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with a short exposure time decreases pain and postoperative macular edema with no difference in regression of neovascularization. Patterned laser photocoagulation with a short exposure time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and efficient method for neovascularization in BRVO.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0):1368-1373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정나이 3세가 된 미숙아의 굴절이상, 약시 및 사시
- 동공부등을 동반한 2형 와덴버그증후군 1예
- 징병신체검사에서 의뢰된 성인 약시 환자의 무늬시유발전위의 양상
- 가림치료 중 우세안의 시력이 약시안보다 낮아진 환자들의 임상양상
- 굴절조절내사시에서 시력과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의 무증상 반대쪽 눈의 스펙트럼 도메인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 패턴 광응고술과 기존의 광응고술과의 효과 비교
- 베바시주맙 안내주입술로 호전된 하층망막박리를 동반한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 건성안을 동반한 갑상샘안병증에서 0.05%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액 사용 후 눈물막과 안구표면의 변화
- 외상으로 인한 각막혼탁 환자에서 RGP렌즈의 시력교정 효과
- 역기하렌즈 착용 전 요인들이 착용 후 시력에 미치는 영향
- 비특이성안와염에서 고용량 부신피질호르몬 주사요법의 효과
- 한국어판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설문지 25의 타당성 및 신뢰도 연구
-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동반된 망막하액 축적 1예
- 쯔쯔가무시병에서 발생한 전포도막염 1예
- 각막굴절교정수술 이후 안압 상승의 위험인자
- 안축장이 짧은 안에서 인공수정체도수 산출 공식과 전방 깊이에 따른 정확성 분석
- 점안제로 오인하여 사용한 순간접착제에 의한 안손상의 임상양상 및 예방법
- 안와와 전신에 동시 다발성으로 발생한 재발성 포상연부육종 1예
- 컴퓨터 작업으로 인한 눈 피로의 객관적 평가 방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녹내장 개선 사례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백신 이상반응 개선 사례 보고
-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개선 사례 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