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ormation of Collateral Vessels and New Vessels in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서상우 양연식,Sangwoo Seo, MD, Yunsik Yang,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0,number1, 61~6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study the development of collateral vessels and new vessels according to the types of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Methods: One hundred and nine eyes of 103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anatomical position of blockage site and pattern of neovascularization. fluorescein angiography was used to examine perfusion/ nonperfusion, size of obstruction site, distance between obstruction site and optic disc (or macula). We compared initial visual acuity and final visual acuity.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n size, between the obstruction site and the optic disc, between the obstruction site and macula. Collateral vessels occurred in major vessel obstruction (MVO) and major vessel and macula obstruction (MVMO) more than in macula obstruction (MO) and peripheral vessel obstruction (PV). Collateral vessels occurred 50 eyes in patients with macula edema and new vessels occurred 36 eyes in patients with macula edema. In collateral group, there was higher incidence of collateral vessels in ischemic type compared to nonischemic type and higher incidence of collateral vessels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ischemic group with collateral vessels had better visual acuity prognosis than perfusion group with collateral vessels. Conclusions: collateral vessels in BRVO have a favorable effect on visual prognosis. If patients with collateral vessels shows ischemic type, macula edema and involvement of first order, early laser photocoagulation is recommended for visual prognosi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단안 망막정맥폐쇄가 있는 환자의 반대쪽 안의 녹내장성 손상에 대한 고찰
- 가토에서 히알루론산나트륨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혼합액이 술 후 유착에 미치는 영향
- 누구접근법을 이용한 단독안와내벽골절정복술
- 비전형적인 하라다병 3예
- 건강지수와 안압과의 상관관계
-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의 임상 양상과 진단 및 치료
- 양안 터슨 증후군에서 관찰한 황반가성전방축농
- 누소관 열상 환자에서 누소관 성형술의 성공요인 분석
- 재발된 간헐외사시에서 순응도에 따른 부분가림치료의 장기적 효과
- 맥락막혈관신생에서 광역학요법 후 맥락막 관류의 변화
-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버섯모양 창상변형 각막이식술의 초기 임상성적
- 20년 이상 투명각막이 유지된 각막이식환자에 대한 고찰
- 중간포도막염의 임상양상과 치료
-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상측분절시신경형성부전 환자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분석
- 급성 폐쇄각녹내장에서 합병증을 중심으로 본 초음파유화술의 임상결과
- 비내시경적 누낭비강문합술에서 비강내공의 모양에 따른 수술 성공률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안압 상승의 위험인자
- 뇌출혈 후 발생한 파리노드증후군 1예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단기 효과
- 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의 혈관신생에 대한 임상적 고찰
- 한국인 후천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의 시력예후
- 샤임플러그 사진기를 이용한 폐쇄각녹내장 환자의 앞방계측치 비교
- 건성안이 있는 이식편대숙주질환에서 사이클로스포린 A 점안치료 후 장기간의 경과관찰
- 외상성 홍채결손을 가진 환자에서 각막문신술 3예
- 녹내장의증 소아, 정상, 녹내장 소아 간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