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of Low Vision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지택 문남주,Jee Taek Kim, M.D., Nam Ju Moon,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9, 1269~127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arry out a low vision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and to evaluat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low-vision patients. Methods: The subject were 250 patients whose visual acuity was between hand motion and 0.3 among the patients at our clinic. The normal control group included 60 patients. Aft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we selected a useful questionnaire to assess quality of life in low vision patients and translated the questionnaire into Korean. The questionnaire used had 25 items concerning low vision and each question was multiple-choice, and the sum of the total points was used to assess of the quality of life. Results: The range of scores was from 0 to 125 points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Fifty-one patients among 250 patients in the low vision group replied to our questionnaire. Fifty patients among 60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replied. The average low vision quality of life (LVQOL) score for patients with low vision (67.3±26.7)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ose with normal vision (114±9.7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of patients questioned by mail versus telephone Conclusions: The score of low vision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o this questionnaire can be applied to low vision patients specifically to evaluate quality of life. Optimally, the the questionnaire shoud b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low vision consultation. The comparision of prerehabilitation score with postrehabilitation score might be helpful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a post rehabilitation stat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통눈물소관 폐쇄에서 두 개의 실리콘관을 삽입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 망막중심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에 대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의 효과
- 할러만-스트라이프 증후군 1예
- 소아 백내장 수술시 삽입된 일차 후방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른 술 후 결과 및 합병증
- 눈추적장치를 이용한 고등각막표면굴절교정레이저절제술에서 수술자 지정 연마중심의 정확도
- MELAS 증후군 환자에서 발견된 시신경병증 1예
- 안와와 안구표면을 동시에 침범한 신경섬유종증 1예
- 진균 감염 시 전방 내 암포테리신 주입 치료 성적에 관련된 위험 인자 분석
- 녹내장의 초기 진행에 따른 시신경유두 형태 변화
- 한국인 레베르선천흑암시 환자의 임상양상
-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간농양 환자에서 대변 장구균에 의한 양안 내인성 안내염 1예
- 양안 각막이식에서 먼저 수술한 눈과 나중에 수술한 눈의 이식거부반응의 비교
- 터슨 증후군의 술 후 시력 회복 및 합병증에 관한 고찰
- 양안 안구적출술을 받은 망막모세포종 환아들의 임상경과
- 난시교정용 유수정체 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통한 고도근시와 난시의 교정 1예
- 중등도 및 고도 근시에서 시행한 라섹과 에피라식의 비교
- 한국인 단순포진각막염 환자의 임상 분석
- 갑상선 안병증에서 눈주위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
- 일란성 쌍둥이에서 발생한 사시의 임상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