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안 각막이식에서 먼저 수술한 눈과 나중에 수술한 눈의 이식거부반응의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Graft Rejection of First Eyes and Second Eyes after Bilateral Penetrating Keratoplast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황호식 김수영 김만수,Ho Sik Hwang, M.D., Su Young Kim, M.D., Man Soo Kim,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9, 1189~119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graft rej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yes after bilateral penetrating keratoplast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ases of 16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penetrating keratoplasty. Nonparametric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used to account for variable follow-up among patient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16 patients (12 M, 4 F) was 39.1 years. Mean follow-up was 89.8 months after surgery in the first eye and 42.8 months after surgery in the second eye. The average time interval between surgery on the first and second eyes was 47.0 months. The indications for surgery were keratoconus (37.5%), corneal dystrophy (25.0%),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12.5%), band keratopathy (12.5%), and inflammatory corneal opacity (12.5%). Endothelial rejection occurred in five of the first eyes but was treated successfully, remaining clear until the last follow-up. Endothelial rejections were seen in five of the second eyes, two of which failed. Survival analysis of endothelial reje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yes; however, survival analysis of the graft failure showed a decreased survival rate of the second eyes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eyes.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t the last follow-up of the second eyes seemed to be worse than that of the first eyes. Conclusions: Survival analysis of the endothelial rejec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yes. Survival analysis of the graft failure showed decreased survival rate of the second eyes. At the last follow-up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second eyes appeared to be worse than that of the first ey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통눈물소관 폐쇄에서 두 개의 실리콘관을 삽입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 망막중심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에 대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의 효과
- 할러만-스트라이프 증후군 1예
- 소아 백내장 수술시 삽입된 일차 후방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른 술 후 결과 및 합병증
- 눈추적장치를 이용한 고등각막표면굴절교정레이저절제술에서 수술자 지정 연마중심의 정확도
- MELAS 증후군 환자에서 발견된 시신경병증 1예
- 안와와 안구표면을 동시에 침범한 신경섬유종증 1예
- 진균 감염 시 전방 내 암포테리신 주입 치료 성적에 관련된 위험 인자 분석
- 녹내장의 초기 진행에 따른 시신경유두 형태 변화
- 한국인 레베르선천흑암시 환자의 임상양상
-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간농양 환자에서 대변 장구균에 의한 양안 내인성 안내염 1예
- 양안 각막이식에서 먼저 수술한 눈과 나중에 수술한 눈의 이식거부반응의 비교
- 터슨 증후군의 술 후 시력 회복 및 합병증에 관한 고찰
- 양안 안구적출술을 받은 망막모세포종 환아들의 임상경과
- 난시교정용 유수정체 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통한 고도근시와 난시의 교정 1예
- 중등도 및 고도 근시에서 시행한 라섹과 에피라식의 비교
- 한국인 단순포진각막염 환자의 임상 분석
- 갑상선 안병증에서 눈주위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
- 일란성 쌍둥이에서 발생한 사시의 임상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