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녹내장의 초기 진행에 따른 시신경유두 형태 변화
이용수 27
- 영문명
- Change in Optic Nerve Head Topography in Progression of Early Glaucom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한은령 서울 이수영 최규룡,Eun-Ryung Han, M.D., Wool Suh, M.D., Soo Young Lee, M.D., Kyu Ryong Choi, M.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8,number9, 1248~125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 and the structural optic disc chan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reproducible visual field defects in a group of preperimetric patients converting to early glaucoma. Methods: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Humphrey Field Analyzer) was performed every six months in 294 preperimetric patients. Each subject was classified as either converter or non-converter according to glaucomatous visual field changes, an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Sequential optic disc images were obtained using the TopSS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TopSSTM) and optic disc parameters were measured to determine if any change had occurred. Results: A total of 44 eyes from 44 subjects (14.9%) in 294 patients subsequently developed early glaucomatous field loss (converters). The progression rate of visual field defect is 0.43dB/year. In respect to age, sex, refractive error, and diabetes mellitu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Elevated IOP, hypertension, and family history of glaucoma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the converter group than in the non-converter group. Among TopSS parameters, cup-to-disc ratio, effective area, volume above, maximum slope, and neuroretinal rim are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Changes of the neuroretinal rim were prominent in superior and inferior sectors. Conclusions: Among TopSS parameters, cup-to-disc ratio, effective area, volume above, and neuroretinal rim are useful in detecting the progression of glaucoma. Furthermore, neuroretinal rim changes in each sector may provide clinically relevant information in detecting and monitoring the progression of glaucom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통눈물소관 폐쇄에서 두 개의 실리콘관을 삽입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 망막중심정맥폐쇄환자에서 황반부종에 대한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의 효과
- 할러만-스트라이프 증후군 1예
- 소아 백내장 수술시 삽입된 일차 후방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른 술 후 결과 및 합병증
- 눈추적장치를 이용한 고등각막표면굴절교정레이저절제술에서 수술자 지정 연마중심의 정확도
- MELAS 증후군 환자에서 발견된 시신경병증 1예
- 안와와 안구표면을 동시에 침범한 신경섬유종증 1예
- 진균 감염 시 전방 내 암포테리신 주입 치료 성적에 관련된 위험 인자 분석
- 녹내장의 초기 진행에 따른 시신경유두 형태 변화
- 한국인 레베르선천흑암시 환자의 임상양상
-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간농양 환자에서 대변 장구균에 의한 양안 내인성 안내염 1예
- 양안 각막이식에서 먼저 수술한 눈과 나중에 수술한 눈의 이식거부반응의 비교
- 터슨 증후군의 술 후 시력 회복 및 합병증에 관한 고찰
- 양안 안구적출술을 받은 망막모세포종 환아들의 임상경과
- 난시교정용 유수정체 후방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통한 고도근시와 난시의 교정 1예
- 중등도 및 고도 근시에서 시행한 라섹과 에피라식의 비교
- 한국인 단순포진각막염 환자의 임상 분석
- 갑상선 안병증에서 눈주위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
- 일란성 쌍둥이에서 발생한 사시의 임상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