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식업 서비스 부문의 임시직 노동
이용수 107
- 영문명
- Shadow Labor: Part-Time Works in the Service Sector
- 발행기관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 저자명
- 안태경(Tae Kyung Ahn) 원재연(Jae youn Won)
- 간행물 정보
- 『사회연구』통권26호, 101~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서울 소재 한 중식당 서빙 종업원으로 참여 관찰하고 심층 면접을 수행하여 음식업 서비스 부문의 임시직 노동자들이 통제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노동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는 노동자들에게 다가가 그들의 삶에 접근하여, 그 일상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장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현장에서의 참여 관찰을 통하여 서비스 노동의 위계화와 동시에 진행되는 개별화를 보여주었다. 제조업과 유사하게 노동과정에서의 위계화는 발견되지만, 서비스 임시직의 특징은 노동의 집합적 성격이 매우 약하며, 그 개별성이 부각된다. 이 점에서 이 논문은 음식업 서비스 부문의 임시직 노동의 구체적 성격을 위계성과 개별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음식업 서비스 노동은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강도가 높은 노동이며, 임시직 노동자는 저임금 시간제 노동을 수행하며 서비스 노동자 중 최하층으로 존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part-time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are managed and controlled through a participant observation study at a restaurant in Seoul.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the authors try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workers in their everyday world.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e found of service work is hierarchical, individualized labor. This kind of service work is "cheap labor", but draining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However, this kind of labor is often unnoticed, invisible to the customers as these part-time workers are located in the bottom of workplace hierarchy, doing "shadow labor" for regular employees and customers.
목차
요약
1. 서론
2. 서비스 노동 연구
3. 연구방법 및 현장
4. 본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