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칼릴라와 딤나」에 나타난 사자의 상징성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Lion's Symbolism in 「Kalila Wa Dimna」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저자명
- 이동은(Lee Dong Eun)
- 간행물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1집 1호, 143~15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기타동양어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Alial wa Dimna」is the fables which are balances excellently between the surface level meaning and the deeper meaning. The surface level meaning is the entertainment and the moral instruction while the deeper meaning is the political satire being reflected by the translator. The animal characters in this work have variable symbolism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stories. But the lion has the fixed symbolism in the all stories. The lion acts the great beings which are powerful but foolish. The article has investigat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which this work was translated and the translator's social status in order to analize to lion's symbolism.
Ibn al-Muquffa' was the Persian mawālī being treated inequitably in the Arab society. So he was angry with the Arab governor and despised the pure blooded Arab people.
The lion's symbolism has been analized by the surface level side and the deeper side. In the surface level side, the lion symbolizes the great sized powerful man and the governors. Otherwise in the deeper side, the lion symbolizes the Khaliīfa al-Manṣūr and pure blooded Arab people which was the ruling class.
목차
Abstract
Ⅰ. 머리말
Ⅱ. 「칼릴라와 딤나」의 동물우화의 특성
Ⅲ. 「칼릴라와 딤나」의 출현배경
Ⅳ. 사자의 상징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기타동양어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기타동양어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