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스코르빈산과 티올류 및 유기산이 폴리페놀 산화효오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1
- 영문명
- Effects of Ascorbic Acid, Thiols and Organ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안근(An Keun Kim) 김유경(Yoo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45권 제4호 (2001년), 387~3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thiols such as cysteine, n-acetyl-l- cyteine, glutathione, thiourea, 2-mercaptoethanol and dithiotreithol and organic acids such as magic acid, citric acid, glycolic acid, taurine and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ere studied in order to establish if it reacts with oxidized product an[Vor directly inhibits the enzym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the quantiscation of t-butylcatechol and 4-methylcatechol (phenolic compounds) as substrates, their oxidized product and sul-phydryl colorless additional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method. Chromatographic results indicate that ascorbic acid, organic acids and lower level of cgsteine reduced oxidized product of substrates back to their respective positions oleo-diphenols. On the other hand, other thiols and high level of cysteine reacted with oxidative product of o-diphenols and then produced sulphydryl colorless compounds. Cysteine apperars to have two types of mechanism of actions in the formation of oxidative products of substrates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ascorbic acid-type and other thiols-types. The effect of ascorbic acid with thiols on polyphenol oxidase was determined by same method. Chromatographic results indicate that ascorbic acid was more reactive with oxidized product of substrates than thio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 장기조직중 유기염소제류 농약의 분포
- 10-(치환)-레보푸록사신 유도체의 합성 및 항균 작용
- 붉은서나물 지상부의 성분
- HPLC를 이용한 제에웅의 레티놀 유도체 정량
- 소적혈구로부터 새로운 헝태의 세포질 포스포리팍제 A2의 동정 및 특성규명
- HPLC 형광검출법에 의한 Glyphosate의 혈중농도 측정
- 헤테로환성 아민기를 갖는 신규 택솔유도체의 합성
- 아스코르빈산과 티올류 및 유기산이 폴리페놀 산화효오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진세노사이드 Rh2의 방향선택적 합성
- Dopamine D2 Receptor 효능제인 TNPA의 중추적 항이뇨작용 기전
- 배양 대뇌피질 신경세포에서 glutamate에 의한 Ca2+/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arse IV의 활성변화
- Bak-like단백질을 code하는 cDNA의 동정
- 향류마치스 효과를 갖는 새로운 히스톤 Hl 단백질 (p961)의 횐쥐와 토끼에 대한 약물동태
- 시플로덱으트린류를 이용한 새로운 플루코나졸 수성 주사제의 설계
- C6세포에서 phospholipase A2촬성에 대한 ATP의 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