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동유럽한국학회
- 저자명
- Young suk Park
- 간행물 정보
- 『중동유럽한국학회지』Vol.11, 174~18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ne may imagine that the Korean garden is similar to the Japanese or Chinese garden or that there is a generalized eastern type garden. The Korean garden, however, has a combination of features unique to Korea. The culture of the three nations including their garden cultures is imbedded more or less in three major ide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 country's garden culture depends on natural elements and the people's spiritual values and beliefs. Related to this, Korea has maintained its own distinction throughout its long garden-making history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A.D. 668). This is especially evident in their numerous royal palace gardens. These gardens often had ponds and small islands alluding to Taoist sanctuaries. Taoism has been a part of the Korean culture so long and has been so influential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say that it was not inherently Korean. Korean culture could be defined as a nature worshiping culture in search for the way of nature, the unity of humans and nature, which essentially corresponds with Taoist beliefs. Korea's samjae philosophy, the triad made of heaven, earth and humans, has been espoused from the time of the nation's foundation (2333 B.C.). To understand the aesthetic of the Korean garden one need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Taoist philosophy, a philosophy that follows the principle of nature, and understand its influence on the concept of garden designing and location selection. Understanding the Korean garden that contains a unique spirituality and scenery among all Asian gardens, one will gain a perspective view of the three Eastern Garden styles as well.
목차
abstract
1. The Origin and the Concept of Taoism
2. The Influence of Taoism on Korean Culture
3. Concept of the Korean Garden Design
4. The Pond in the Korean Garden
5. Oriental Gardens, a Brief Look at Other Gardens
6. Conclusion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가리아어와 한국어의 속담 비교 분석
- Outlines of Teach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Foreign Students
- Tao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Garden
- 한국어 청자높임 체계의 재정립
- 다문화 가족 대상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전문가 양성의 실제와 과제
- 통사면에서 한국어와 터키어의 대조 분석 및 한국어 일기 자료 오류 분석
- New Sugges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Adapting European Language Portfolio to Korean Language Teaching"
- 헝가리 문서보관소의 남북한 관련 비밀해제문서 연구방법에 대한 제언
- 문학을 통해 가르치는 한국 현대역사
- Beginnings of Korean Studie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A Participant's Account
- The Dynamic Life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Hangeul
- Studying Korean through translations: challenges and rewards
- 한국어 교육에서 토의와 토론의 필요성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몇 가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