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차드 박스터(Richard Baxter,1615-1691)의 "보편속죄론(Universal Atonement)"에 관한 고찰

이용수  224

영문명
A Study on Richard Baxter's Universal Atonement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윤종훈(Yoon Jong Hun)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31권, 123~15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후기 청교도 역사를 선도하였던 존 오웬의 전통적인 제한속죄론에 반기를 들고 보편속죄론을 제창하였던 리차드 박스터의 속죄론의 이론적 근거와 배경 그리고 요지와 범위를 다루고 있다. 박스터의 속죄론은 그의 칭의론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이론적 배경을 이루고 있다. 박스터의 속죄론 사상은 Thomas Aquinas(1225-1274), Johannes Duns Scotus( 1266-1308), William of Ockham(1300-1360) 그리고 Richard Sibbes, James Ussher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특히 박스터는 어셔를 통해 신학의 다양성과 연합 및 일치의 중요성을 부각하였고, 그의"보편속죄론"은 Hugo Grotius(1583-1645)와 스코틀란드 출신의 John Cameron(1579-1623)과 프랑스 소뮈르 학파(French School of Saumur)의 직접적인 영향아래 놓여있다. 박스터는"Universal Redemption"를 통하여 그의 보편속죄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그리스도, 하나님 모두 율법에 대한 입법자이자 통치자의 면과 절대주인의 부분을 구별해야하며, 통치자 그리스도와 은혜수여자로서의 절대소유자를 구분해야 하며, 사건의 본질과 사건으로 인한 권한과 책임을 구분해야하고 자연과학과 윤리학을 구별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박스터의 사상적 배경에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책임 즉,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은 동시에 우리에게 도덕적 책임을 요구하시는 하나님이심을 논증하기 위해 두 개의 속성들을 열거한 것이다. 이러한 박스터의 이중구조적 신학체계는 성경에 근거하기 보다는 자신의 정치적 또는 철학적 사고방법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처럼 박스터는 자신의 이 중구조론에 입각한 보편속죄론을 완성하기 위해 인간의 책임부분으로서의 "믿음 즉 신앙'을 강조하였다. 전통적인 개혁주의 노선에 입각한 청교도 신학의 속죄론은 그리스도의 속죄의 충분성과 유효성을 구분하여 그 유효성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의지에 입각하여 실행됨을 주장하였지만, 박스터는 이 속죄를 유효하게 하는 충분성의 결정 요인을 하나님의 주권적인 의지보다는 사람의 회개와 믿음이라는 조건에 달려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영문 초록

Richard Baxter,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uritans in 17th Century in England, opened up new vistas on the theory of Universal Atonement in controversy with John Owen, the mainstay of the Reformed Puritans. This Paper examines and demonstrates on those who influenced the formulation of Baxter's universal atonement, and the theological meaning and intent or extent, necessity of his doctrine of atonement, on account of the fact that Baxter's atonement theory provided a background for his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Baxter was opposed to Antinomianism and its stress on Christians having no responsibility to keep the law of God because they have been made perfect in Christ, and need only to believe. And also he was opposed to Calvinism and its emphasis on unconditional election, double predestination, and limited atonement; which stressed that man's role in salvation is incidental or secondary. Baxter demonstrates that the effect of the atonement is that the satisfaction made by Christ was made equally for all man universally and generally so that all men are conditionally saved, and are actually saved if and when they do sincerely believe.

목차

1 문제제기
2 리차드 박스터 속죄론의 사상적 배경 및 논쟁
3 리차드 박스터의 보편 속죄론 요지
4 리차드 박스터의 보편 속죄론 필요성
5 리차드 박스터의 보편 속죄론 범위
6 리차드 박스터의 보편 속죄론 효과
7 결론: 비평적 고찰
참고문헌
국문초록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종훈(Yoon Jong Hun). (2014).리차드 박스터(Richard Baxter,1615-1691)의 "보편속죄론(Universal Atonement)"에 관한 고찰. 개혁논총, 31 , 123-157

MLA

윤종훈(Yoon Jong Hun). "리차드 박스터(Richard Baxter,1615-1691)의 "보편속죄론(Universal Atonement)"에 관한 고찰." 개혁논총, 31.(2014): 123-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