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금전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이용수 264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Financial Literacy in Japan: Focusing on the Support System Outside of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지은(Jang, Ji-Eu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4권 제4호, 129~156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05년 경제교육원년을 계기로 활성화된 일본의 금전교육의 실태에 나타난 학교 바깥의 지원시스템의 특징과 시사점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 세 가지의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는 경제교육원년을 계기로 하여 금전교육을 확대하게 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토대로 하여 2000년대의 금융시장, 금융정책, 금전생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는, 금전교육의 지원환경을 만들어 낸 일본정부(금융청)와 일본은행 내의 금융광보중앙위원회의 사업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 기관이 발행한 자료의 분석 및 기관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는 위와 같은 기관이 제작하여 학교에 배부한 금전교육의 교재분석을 통하여 일본사회에서 2000년대 요구하는 금전교육의 교육의 방향을 살펴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금전교육의 지원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일본의 금전교육은 실생활에의 적응의 방식을 금전을 매개로 하여 이해할 수 있는 유용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금전을 매개로 한 사회참여를 통하여 사회에 기여하는 ‘사회형성자’로서의 인간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고 있는 점이었다. 둘째, 일본의 금전교육은 학교의 교과 교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금전교육의 필요성을 정부주도 하에 금전교육 관련주체를 연계한 범사회적인 교육지원환경을 마련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전교육자원을 조직화하고 있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Japan’s financial literacy, which has become widespread ever since the designation of 2005 as the first year of economic education. The topic was examined in three aspects, as outlined below.
First, the social backdrop leading to the expansion of financial literacy in the year of economic education was explored. Based on past research, this paper investigated financial markets, financial policies, and changes in money management during the 2000s. Second, an analysis was performed for projects led by the Financial Service Agency and the Bank of Japan’s The Central Council for Financial Services Information in support of an environment encouraging financial literacy. Official reports released from the two institutions were analyz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related personnel. Third,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distributed in schools were carefully reviewed.
From the aforementioned analysis and examination, this paper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Japan’s money connection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 compensated for insufficient money education resources in schools by seeking cooperation from related institutions. Second, financial literacy in Japan focuses on the social practicality of using money as a medium in adjusting to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hapers who are capable of making significant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healthy money manage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고찰과 논의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