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이용수 465
- 영문명
- A Study on Aspects of a Performance Arena's Communica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김정경(Kim, Jung-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3권, 263~289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의는 허구적 구술 텍스트가 전달ㆍ수용되는 의사소통의 메커니즘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야기-‘서술’-보다는, 이야기와 이야기하는 행위에 대한 반성적 언술-‘메타 서술’-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도심공원의 전문 이야기꾼 노재의 화자가 구연한 이야기를 대상으로, 이야기판에서 나타나는 이야기 세계와 현실 세계의 관계 양상을 검토했다. 그 결과 허구적 구술 텍스트에서 이야기 세계와 이야기하는 세계는 하나의 연속체로 인식되며, 이는 컨텍스트의 텍스트화라는 방식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것은 이야기 세계에 몰입한 청중이 설화 내용의 진위 여부에 관심을 갖지 않으며, 화자 또한 자신의 이야기를 현실 세계의 재현보다는 자신이 기억하는 숱한 이야기 목록 가운데 하나로 여긴다는 데에서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청중의 이야기 세계로의 몰입이 어떠한 원리에 의해 생겨나는가를 검토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몰입은 설화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이야기 문화를 청중이나 구연자로서 경험해본 이들 또는 전통적 이야기 문화가 어떻게 존재했으며 어떻게 기능했는가에 대한 믿음을 가진 이들에게 주로 가능한 것 같았다. 그러므로 우리는 결코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순진무구한 어린이 또는 이야기 공동체에 완전히 동화된 개인의 응시라는 매개를 통해서만 이야기판에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showed in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Here the main intention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ways of interpreting "meta-narration".
The chapter 2 dealt with the relation between fictional world and real world. In a conclusion, this paper found out that "textualization of context" appeared in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The chapter 3 dealt with the response of the audience throughout immersion. As a result, the paper found out that immersion of the audience must pass through the naive 'gaze' of a child.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컨텍스트의 텍스트화
3. 회고적 응시를 매개로 한 이야기 세계로의 몰입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전 판소리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적 성향과그 미학
-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 『고금가곡』 내 「단가이십목」에 대한 고찰
-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과 의미
-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ㆍ녀 주인공의 성적ㆍ사회적 욕망
- 『연의각』 장면ㆍ재담ㆍ서술의 독서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