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이용수 534
- 영문명
- An Essay on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Ghosts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박성지(Park, Sung-J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3권, 33~65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기억을 귀신의 형성조건으로 놓고, 그 담론적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있다. 여기서 기억이란 ‘관계들의 축적’을 가리킨다. 귀신은 한 공동체가 쌓아온 관계들의 축적, 곧 기억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귀신은 인간보다 더 많은 사건을 흡수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화복을 행사하고 미래를 예언한다. 따라서 그의 시간적 범위는 인간보다 훨씬 넓다. 한편 그가 활동하는 공간은 마을 공동체를 형성하는 신앙의 범위와 일치한다. 특히 인귀(人鬼)가 지닌 폭력성은 공동체 역사의 이면, 잊고 싶은 과거와 관련되며, 이는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 기억-관계의 축적은 공간성으로 이해해도 좋을 만큼 정적인 지속성이 강하지만, 공동체의 안팎을 가로지르면서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외부 세력에 대항하는 담론적 역동성을 지닌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on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ghosts. Here, memory indicates ‘the accumulation of relations’ and ghosts are formed based on memory, namely, relations that a community has accumulated. Because ghosts absorb more incidents than humans, their scope of time is much wider than humans. With the potency, ghosts exercise their power upon fortune and misfortune, and foretell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range of ghosts’ activities agrees with the scope of belief upon which a village community is established. In particular, the violence of human ghosts is associated with stories behind community history, that is, the past that people want to forget, and it works as a power that demolishes the community. The memory has so strong static continuity that it may be understood as spatiality, but establishes identity across the com- munity and bears the dynamics of discourse resisting against external power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물(物)의 기억: 귀신의 형성조건
3. 귀신의 능력, 그 시공간적 범위
4. 죽은 이에 대한 기억: 소외와 폭력을 중심으로
5. 기억의 담론적 역동성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전 판소리의 그로테스크(Grotesque) 적 성향과그 미학
-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 귀신의 형성조건에 대한 시론
-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 『고금가곡』 내 「단가이십목」에 대한 고찰
- 19세기 詞문학 유행의 배경에 대하여
-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 소통과 치유를 꿈꾸는 상상력, <숙향전>
- 조선후기 백이 수용의 한 양상
- <변강쇠가>의 성 담론 양상과 의미
-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 이야기판에서의 의사소통행위 양상 연구
- <최치원>의 형상화 방식과 남ㆍ녀 주인공의 성적ㆍ사회적 욕망
- 『연의각』 장면ㆍ재담ㆍ서술의 독서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