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 갈래와 평가 주체에 따른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이용수 149
- 영문명
- A Correlation Research of The Writing assessment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and Assessment Subject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서종훈(Suh, Jong-hoon)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8권 제1호, 73~108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일반고와 특목고 학습자들로 구성된 두 집단을 중심으로 교실수업 내 쓰기 평가의 신뢰도 향상과 쓰기 평가의 방안 마련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쓰기 평가의 문제를 상관성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평가 주체와 담화 갈래 간의 평가 신뢰도가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검정되었다. 평가 주체는 학습자와 전문가로 구분되며, 전자는 자기, 동료, 모둠 평가에 후자는 전문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담화 갈래는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으로 구분되었다.
두 가지 가설이 제기되었다. 첫째, '평가 주체 간 평가 결과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은 대상 학습자와 갈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담화 갈래 간 평가 결과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을 것이다'는 가설은 평가 주체에 따라 정형화된 결과가 다르게 나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eated the problem of reliability in writing assessment. There were focused on two small size of general and special highschool students. To this end, assessment subjects and discourse genres were divided. The former were self, peers, teams, and expert assessment. The latter were explanation, persuasion, and essays.
It was the first hypothesis that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between the assessment subjects. The result was obtained by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lanation and persuasion. Essay, however, except between some subject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It was the second hypothesis that had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between discourse genres. There was overall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scourse genres. But persuasion and essays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elf assessment, and explanation was signifiant in the case of peer and teams assessment.
This paper introduced correlation analysis in reliability of writing assessment.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the writing assessment, assessment group should be diversified and assessment standard subdivided. Also, the writing criteria should be construct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writing, and the level of subjects.
목차
<요약>
1. 들머리
2. 연구 방법 및 연구 가설
3. 평가 주체와 갈래에 따른 결과 및 논의
4. 마무리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