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at is defined as "pornography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unde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gainst Sexual Exploitation Act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김성규(Kim, Seong-Gyu)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25卷 第1號, 227~247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definition of 'pornography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unde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gainst Sexual Exploitation Act, is any material (and that can include digital) that visually depicts a person who is under 19, or a person or images of a person who is depicted to be under 19, involved in sexual activity or depicting part of body of that person, which shall amount to significant damage to, and distortion of, dignity of human sexuality. According to the explanatory report prepar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definition also stretches to cover adults over the age 19 who are made to appear as if they're children and adolescents involved in sexual acts.
In Korea, the Supreme Court admitted that the concept of obscenity is relative and fluid with the changes of the society and age; the Court held that it is undesirable for the state to strictly regulate or prohibit pornography, because of it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privacy, the righ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diversity in contemporary society. Nonetheless, there must be reasonable ground to place more strict regulations on the pornography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an on any other obscene and indecent material perpetrating into our daily life, as long as the main purpose of the legal regulation of pornography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is not to maintain some form of social control on obscene and indecent material in general, but to tackle the sexual abuse and exploit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at sense, it is justified to treat the pornography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specifically, and also possible to draw a line between such pornography and any other obscene contents.
목차
Ⅰ. 아동ㆍ청소년이용음란물에 대한 규제의 국제적 관점
Ⅱ.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아동ㆍ청소년이용음란물의 정의(定義)에 관한 쟁점
Ⅲ. 아동ㆍ청소년이용음란물의 정의(定義)에 관한 외국의 법제와 논의상황
Ⅳ. 아동ㆍ청소년이용음란물에 대한 형법적 규제의 취지에 비추어본 그 정의(定義)의 방향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