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rief for the Reform of Pardon System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이승호(Lee, Seung-Ho)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刑事政策 第25卷 第1號, 117~150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ardon system was introduced into South Korea in 1948 at the same time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 The prerogative of pardon was bestowed upon the President, following the legal system of most western countries. However, in the operation of that prerogative, South Korea has been different from other western countries. The history of pardon has been spotted with the abuse and misuse of the pardon power. Over 100 times of pardon has been practiced, including 7 times of general pardon. Especially in the end of every presidential term, most of the Presidents has released and reinstated his aids convicted with corruption or misfeasance. These unpleasant experiences make the reform of pardon system to be the imperatively necessary task for correcting the criminal justice malfunction.
This brief draws up a plan for the reform of pardon system in South Korea. The principal poin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pardon should not be permitted to the limited cases like special crimes of the Presidential aids. The limited crimes include corruption, misfeasance and anti-human crime. Secondly, the committee of reviewing pardon should be reformed for doing its task independently. For doing so, its nine members need to be nominated by the President, the Assembly and The Supreme Court equally. Lastly, the practice of pardon should be checked by the exterior institution like the Assembly or the Supreme Court. The restraining influence of general pardon belongs to the Assembly, while the pardon of individual criminals could be checked by the Supreme Court.
목차
Ⅰ. 계기 -지난 1월의 특별사면-
Ⅱ. 우리나라 사면제도의 법제와 실제
Ⅲ. 지금까지 발의된 개정안의 검토
Ⅳ. 개혁방안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