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mantic Category Between '幸', '臨' and '御' Of The Movement Verb In The Samkuksaki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송병우(Song Byung-Woo)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37輯, 75~97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삼국사기』에서 이동 의미를 나타내는 '幸ㆍ臨ㆍ御'의 의미 자질 분석을 통하여 이들 단어의 고유한 의미범주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이 세 어휘는 일반적으로 '지체 높은 사람의 이동'을 표현할 때 쓰인다. 이들 어휘는 바로 이런 의미에서 의미 요소가 중첩되는 경향을 띠면서 의미적 유사성을 가진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이들 세 어휘의 의미 요소가 완벽하게 중첩되지는 않는다. 이는 이 세 어휘의 의미범주에서 교집합을 구성하는 요소가 많긴 하지만 그 교집합 영역에 들지 않는 각각의 고유한 의미 영역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들 단어의 의미적 독자성은 바로 이러한 고유한 의미 영역에 의존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들 단어의 독자성을 유지하는 고유한 의미 영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어휘는 이동 주체가 임금일 때 쓰인다. 다만 '幸'이 쓰인 예문에서 이동 주체는 중국의 황제거나 삼국시대 우리나라 각 국의 왕이다. '臨' 역시 중국 황제와 우리나라 각 국의 왕을 이동 주체로 갖는다. 다만 '御'가 쓰인 예문에서는 신라의 왕만이 이동 주체로 나타난다.
둘째, 이동의 출발항과 도달항의 측면에서, 이들 세 어휘는 출발항이 모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출발항이 이들 어휘의 중요한 요소, 즉 필수항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이동의 도달항은 대부분 명시적으로 나타나는데, 세 어휘 모두 도달항을 필수항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세 어휘는 출발항에서부터 도달항까지의 거리가 다르다. '幸'과 '臨'은 상대적으로 원거리 이동을 나타내고, '御'는 이들과 달리 궁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근거리 이동을 나타낸다.
셋째, 이동 목적에서 살펴보면, '幸'은 국왕의 정치, 군사적 행위나, 국가의 의례적 행사 등과 관련된 목적을 띤 이동, 즉 국왕의 공적인 이동을 나타낸다. '臨'은 국왕이 신하에게 가는 이동, 혹은 사회정책을 위한 이동을 나타낸다. 이 경우 '臨'은 '幸'보다 국왕의 사적이고 돌발적인 이동의 성향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御'는 죄수사면이나, 활쏘기 구경, 일상적 정사 처리 등을 위한 이동에 쓰인다. 이는 공과 사가 혼재된 국왕의 이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different semantic category among '幸', '臨' and '御' through analyzing the semantic features of them used in Samkuksaki, The three words are typically used to represent the meaning that a king goes forward somewhere. At that meaning, semantic factors of the three words tend to be overlapped and the words have a semantic similarity.
But strictly speaking, semantic factors of the three words are not overlapped perfectly. This mean that there are lots of the semantic factors composing intersection in the semantic categories. The identity of the words depends on the unique semantic domain. According this study, unique semantic domain maintaining the identity of the word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 main agents of movement in '幸' and '臨' are open to a king of Korea in Three Kingdoms period or king of China. A main agents of movement in '御'are all the king of the Silla Kingdom.
Second, looking into the starting point and arrival point, three words do not have overt starting point. This shows that the starting point is not important, in other words, this is not the necessary elements in the meaning of the three words. Conversely, three words have overt arrival point. This shows that the arrival point is important, in other words, this is the necessary elements in the meaning of the three words. By the way, three words have a different distance from starting point to arrival point; '幸' and '臨'was mainly used in long distance but '御'was mainly used in short distance not to get out of a royal palace.
Third, in a purpose of movement, '幸' has the purpose about politics of a king, military actions and ritual ceremony of nation; that is a official movement of a king. '臨' has the purpose that a king goes to his subject or the purpose about social policy; that is a private and unexpected movement of a king. '御' has the purpose about pardon of a prisoner, visiting at archery contest and handling of political affairs; that is a movement mixed private and public matters of a king.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幸ㆍ臨ㆍ御' 의미적 유사성
Ⅲ. '幸ㆍ臨ㆍ御'의 의미범주
Ⅳ.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