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ㆍ고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이용수  423

영문명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한정란(Han Jungran)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175~200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2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중고등학생 219명(중학생 99명, 고등학생 118명, 남학생 169영, 여학생 49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안 태도를 조사하고, 응답자의 성별 및 학교급, 노인과의 경험에 따라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anders 등(1984)이 제작한 총 20쌍의 반대되는 형용사로 구성된 의미분화척도에 의한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70세 남녀노인에 대한 태도를 20개 문항에 대하여 Likert 7점 척도 (1점 : 가장 긍정적, 7점 : 가장 부정적)로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태도점수의 중립범위는 3.5에서 4.5까지로 규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고생들은 남성 노인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반면, 여성 노인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고등학생에 비하여 남녀 노인에 대하여 더 유식하다고 하는 지적인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고등학생들은 중학생에 비하여 남녀 노인을 더 친절하고, 착하고, 낙천적이며, 불평이 없다고 하는 정의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및 조부모의 중요도나 방문빈도에 따라 남녀 노인에 대만 태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조부모 방문빈도, 조부모 중요도, 친밀감, 노인에 대한 태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에 관한 교육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보다 광범위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using a sample of 219 schoolers (99 middle schoolers and 118 high schoolers). The Instrument applied to this study consists of the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1984).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format, the respondents evaluated 70 year-old people separate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male target were slightly negative,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 the female target were slightly positive. ② The middle school students viewed both of male and female older people more knowledgeable, optimistic, and uncomplain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did. ③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according to the co-living experience with their grandparents, significance of their grandparents, and visiting frequency to their grandparents. ④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visiting frequency to their grandparents, significance of their grandparents, and intimacy with their grandparents were correlated together. Finally, th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정란(Han Jungran). (2004).중ㆍ고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미래교육학연구, 17 (2), 175-200

MLA

한정란(Han Jungran). "중ㆍ고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미래교육학연구, 17.2(2004): 17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