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고 비판적 읽기 전략 연구
이용수 662
- 영문명
- Study of the Critical Reading Strategy on Lookism Commercial though the Group Investigativ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강연희(Kang, Yeon-hee) 이상우(Lee, Sang-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7輯, 415~439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unteracting strategy on the skyrocketed amounts of information in 21st century is improvement of these 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the learners. Along with the trend, one of the methods is "group investig ative study."
Group investigative study accounts learners' investigative study while each individual conducts their learning by making into small groups not by studying individually. Because learners were made into groups, they can reduce faults and imposes, letting them be more cooperative with their common tasks, and making them possible to get help from each other's learning.
This study aims for the learners to have critical reading on commercials related to 'Lookism' by using group activity model. This study figures out the critical reading strategies by using various symbols and advertisement featured in Lookism commercial advertis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모둠별 탐구학습의 과정
3. 외모지상주의 광고에 대한 비판적 읽기
4. 맺는 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리랑』에 나타난 '개념적 혼성'과 민족적 인지구성
- 자기표현 글쓰기 관점에서 본 『만언사』
- 蘆溪의 '代作/命作' 속 개별 의식 試考
- 분단소설에 나타난 혼혈아의 표상
-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1880~1894)의 학교와 교과서 연구
- 국가 수준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교육적 인식
- 전설의 인물상(人物像)에 나타난 한계와 극복 양상 연구
- 광고 비판적 읽기 전략 연구
- 백철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 서정주 시의 전기적 고찰
- 국어 항진명제의 통사유형과 의미
- 한ㆍ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 '-고' 통합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에 대하여
- 「최생우진기」의 배경 묘사 양상과 기능
- 수필을 통한 문화 교육의 실제와 효과 연구
- 현대 속담의 갈등 구조와 해학성
- 한국 현대시의 원형상징과 현실 대응의 무의식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읽기 활동의 통합성 연구
- 자기 서사적 글쓰기를 통한 상처 치유
- 시조의 명칭과 전망에 관한 계보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