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리랑』에 나타난 '개념적 혼성'과 민족적 인지구성
이용수 272
- 영문명
- A Study on Conceptual Blending and Ethnic Cognitive Constitution in Arira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윤영옥(Yun, Young-o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7輯, 359~38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constitutive mechanism of Arirang and its communicative process. The plot of Arirang connected with ethnic publicity and it's narrative strategies appealed to cognitive structure of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vited readers into sympathy through them.
The conceptual blending is the important means by what we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ext and signaling pathway of text meanings. Namely, it connect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ext with socio-cultural contexts. The plot of Arirang depends on the effects of public image which the song 'Arirang' had created. By trying dynamic composition of spaces and times, of visual and acoustic images, metaphors and metonymies, it depends on the image effects that a synthesis of the ethnic experiences and cognitions creates.
The conceptual blending at Arirang is a significant process that connects the images of song 'Arirang' betwee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of Koreans. The conceptual blending at the text molds a song 'Arirang' into the Koreans' symbol of hardships, endurances, survivals, disseminations. This process related with narrative publicity, as the shaping images and giving rise to sympathies relied on Korean social contexts of historical experiences and ethnic memories.
목차
1. 서론: 『아리랑』과 민족사 이야기의 플롯 특성
2. 서사텍스트의 해석과 인지서사이론
3. 개념적 혼성과 이야기의 시공간 구조의 인지
4. 서사적 공공성과 민족적 인지구성
5. 결론: 『아리랑』의 민족적 인지구성과 개념적 혼성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리랑』에 나타난 '개념적 혼성'과 민족적 인지구성
- 자기표현 글쓰기 관점에서 본 『만언사』
- 蘆溪의 '代作/命作' 속 개별 의식 試考
- 분단소설에 나타난 혼혈아의 표상
- 근대식 학제 도입 이전(1880~1894)의 학교와 교과서 연구
- 국가 수준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본 고전시가의 교육적 인식
- 전설의 인물상(人物像)에 나타난 한계와 극복 양상 연구
- 광고 비판적 읽기 전략 연구
- 백철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 서정주 시의 전기적 고찰
- 국어 항진명제의 통사유형과 의미
- 한ㆍ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 '-고' 통합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에 대하여
- 「최생우진기」의 배경 묘사 양상과 기능
- 수필을 통한 문화 교육의 실제와 효과 연구
- 현대 속담의 갈등 구조와 해학성
- 한국 현대시의 원형상징과 현실 대응의 무의식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읽기 활동의 통합성 연구
- 자기 서사적 글쓰기를 통한 상처 치유
- 시조의 명칭과 전망에 관한 계보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