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 Vertical Mismatch in Education-job on Earnings Using Quantile Reg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저자명
- 김홍균(Hong-kyun kim) 김보영(Bo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재정학연구』제6권 제4호, 81~1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 은 교육-직업사이의 수직적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임금 변화효과가 능력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능력에 따른 차등적인 임금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분위회귀분석(Ouantile Regression, OR) 이며 사용된 자료는 「2010GOMS」 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들과 같이 임금 분포에서 능력 흑은 소득 분위가 높아질수록 과잉교육 즉 하향취업이 임금 감소에 미치는 효과는 감소하여 가장 높은 분위에서 그리고 남성에서 과잉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가장 작았다. 둘째 과잉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모든 분위에서 2-3년제 대학 졸업자보다는 4년제 대학 졸업자들에게서 크게 나타났다. 셋째, QR과 OLS 추정 값의 차이는 소득 흑은 능력이 기장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 남자보단 여자에서 크게 발생하여 OLS 만으로 과잉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한다면 이들 집단에서 과잉교육과 소득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왜곡될 여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hange in earnings due to a vertical mismatch in education-job is varied across ability distribution. In doing so, we used quantile regression and the dada used is 「2010GO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nings loss due to over-education decreases as the ability gets higher,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y. In particular, the effect is the smallest in the highest ability group. Second, the earings loss is greater in 2-3 year college graduates than in 4 year college graduates. Third, the estimation difference between OLS and QR is relatively great in the highest, lowest ability group and male group. This finding implies that if the effect is estimated by OLS, the earnings loss due to over-education is biased greatly in those groups.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자료 및 변수
Ⅲ. 분위회귀분석 방법론 및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