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ATURAL FEATURES AND GLOBALISM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단 노리히코(Norihiko da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3 no.2,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전적인 의미의 글로벌리즘에 의해서 항상 붕괴 위기에 노출되어 왔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풍토는 글로벌리즘과는 양립되지 못하는 사상이며, 반 글로벌리즘의 종국으로 자리 매김 되는 다원적 세계관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리즘을 풍토의 파괴자로 일방적으로 결정짓는 것은 편협 된 사고방식은 아닐까? 이러한 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풍토”라고 하는 문제도 역설적으로 클로즈 업 되어, 다시 숨결을 불어 넣게 되는 일도 있을 것이다. 만약 완전하게 주위로부터 단절된 로컬리티가 있었다고 한다면, 아마도 로컬리티라고는 하지 않고 소우주로서의 세계의 중심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가설을 세운다고 한다면, “글로벌리즘은 풍토를 환기시킨다”고 하는 명제이다. 풍토가 좁은 의미의 내셔널리즘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로 통하는 보편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면, 여기서부터 21세기에서 미래로 통하는 빛이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natural featur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always been exposed to the risk of being destroyed by such globalism in terms of classical meaning, is thought that is incompatible with globalism and could be foundation of the pluralistic view that is regarded as the end of anti-globalism. On the other hand, isn't it also a narrow-minded way of thinking to simply denounce globalism as the destroyer of natural features? Due to this matter, the issue of "natural features"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re-vitalized again paradoxically. If there is a locality that has been completely severed from the surroundings, it would be understood as the center of a small universe rather than being called local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uild another hypothesis - "Globalism remind us of natural features".Given that natural features are not connected to nationalism in a narrow sense but contain the universality that connects to the world, the light leading to the future in the 21st century will begin shining from here.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
2. Raise a issue
3. Logic of Pluralistic world
4. Project
Reference
1. 들어가는 말
2. 문제제기
3. 다원적 세계의 논리
4. 프로젝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