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리다의 미학적 관점으로 본 노자사상의 해체적 공간조형어휘
이용수 41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construction Space Formative Words of Lao-tzu’s Philosophy by Aesthetic Idea of Derrida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김지은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4 no.1,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동ㆍ서양의 대표 담론이라 할 수 있는 노자의 사유를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과 연결하여,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 특성을 해체적 관점으로 분석하려는 시도의 산물이다.
데리다가 말하는 차연이라는 철학 용어는 노자의 도와 유사성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데리다는 이 용어를 통해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는 전략을 시도하여 타자와의 관계를 중시하였다. 노자의 도 역시도 단가적인 하나의 의미에 귀결될 수 없는 관계적 성격을 지녔기 때문이다.
이처럼 데리다와 노자는 전통적, 관습적 사유, 이분법적 사고에 반대되는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데리다의 해체이론과 노자의 사유를 이 세계를 바라보는 공통의 시각으로 설정하고, 해체적 도(道)의 의미를 나타내는 도덕경의 구절을 통해 해체주의적 공간조형어휘를 ‘혼재된 무경계’, ‘무형상의 형상’, ‘시공간의 초월’로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tri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deconstructive point of view through connecting Lao-tzu’s thinking, the main discourse of East and West, with Derrida’s deconstructionism theory.
Derrida’s philosophical term of différance is similar to Tao of Lao-tzu. It is because Derrida emphasized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trying the strategy of overcoming dichotomous thinking by this term. Tao of Laotzu also has the relative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concluded by one sole meaning.
Like this, Derrida and Lao-tzu are against traditional and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set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and Lao-tzu’s thinking as the common viewpoint of this world. And through the phrase of Tao Te Ching which means deconstructive Tao, deconstructive space design vocabulary was derived as mixed no-boundary, shape of no-shape,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노자사상
3. 노자의 해체주의적 공간조형사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