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cological paradigm of responsive space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 저자명
- 조은란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4 no.1,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태학적 생물군집은 쌍방향의 상호작용을 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전적 다양성과 에너지의 순한, 환원, 반복을 통해 진화하는 특성과 함께 진화의 속성을 가지는 생태환경은 일정한 균형 상태의 자기조절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공간 환경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생체모방, 상호작용의 순회적 시스템을 가진 인간에 순응하는 인공지능형 공간으로 상호작용의 쌍방향의 반응하는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유기체적 이고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쌍방향의 반응하는 공간 구현은 현대사회의 복잡함만큼이나 다양하며, 수많은 IT관련기술들과 이론, 신기술의 적용 등 각각의 작업들과 균형과 조화를 맞추는 일은 디자이너로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어렵지만, 반응하는 환경의 생태학적 패러다임의 올바른 이해와 적용은 우리가 상상하는 공간 디자인의 구현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지금보다 더 다양하고 편안하게 표현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Ecological biological communiti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hat the two-way interaction of genetic diversity due to the passage of time. Mild reduction of energy through repetition,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ecological environment with the evolution of the properties includes the ability of self-regulation in a constant state of balance.
These ecological paradigm, the space environment and varied, this biomimetic interaction with the touring system complied with human intelligent space and interaction interactive response.
Thus, the organisms and the ecological paradigm as response to the interactive space implementation,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is as diverse as the numerous IT-related technology and theory,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work in which balance and harmony with each task. For designers, complicated and difficult, but as long as you can not afford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reaction of the environment in which ecological paradigm implementation of the design space we can imagine. In our daily life more diverse than it is now and will be able to be expressed comfortably.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반응하는 공간의 생태학적 분석
4. 반응하는 공간의 생태학적 패러다임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