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최영승(Choi, Young-Seung)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15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riminal agreement is a sort of reconciliation contract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offender and the victim. Under our judicial process, the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is traditionally accepted on the pretext of criminal agreement.
Especially, Bucheon Criminal Victim Support Center has started to operate the system from April 2006. Now Seoul Nambu Criminal Victim Support Center and Daejeon Criminal Victim Support Center operate it, too.
The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if well operated, could be very useful to the offender, the victim and the community. Nevertheless, it sometimes does good to the offender only. Therefore the concerned party to arbitrate the reconciliation should be very careful on this matter so as not to create additional victim.
For this reason, we need to inquire carefully into letting civil support center take charge of the arbitration of reconciliation. Because the basic legal knowledge and the responsibility and fairness as conflict coordinator should be guaranteed at least to be an arbitrator.
This thesis says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riminal reconciliation system in relation to the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being settled as new form of solution under the current legal process. But it seems to be too early to provide the valuation and the alternatives about the system. So I would like only to touch some questions which should be examined on the implementing process of the system and try to find the basic direction for the system to go.
목차
Ⅰ. 글 머리에
Ⅱ. 형사화해의 본질 및 현행 형사화해의 실태
Ⅲ. 시범실시 지역의 화해중재 절차 및 현황
Ⅳ. 현행 형사화해제도의 몇 몇 고려할 점들
Ⅴ. 끝으로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보호명령이행에 관한 유형구축
- 학교폭력 피해자의 지원 방안
- 아동 및 청소년 범죄피해에 관한 고찰
- 청주지역 화해사례를 통해 본 범죄피해자-가해자 화해제도의 발전방향
- 현행 형사화해제도의 실태 및 문제점
- 독일양형론(Ⅲ)
- 수사단계에서의 2차 피해의 실태 및 대안
- Typology Building toward Understandings in Enforcement of Protective Orders to Domestic Victims
- 범죄피해자지원을 위한 재원 확보방안
- 범죄피해자의 권리 확보방안
- 형벌론과 형사실체법에서 피해자의 역할
- 사이버상 불법ㆍ유해정보에 의한 피해현황과 실효적 법제도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