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상담에서 이야기된 개인으로서 노인에 대한 이해
이용수 759
- 영문명
- Understand to senior as a said person in senior counseling process : accumulative forming self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송인주(Song, In-joo)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27집, 157~201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건의 노인상담 사례에 대한 질적 해석적 분석을 통해 노인은 누구인가를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6가지의 넋두리와 개인별 이야기구조를 알 수 있었다. 개별 이야기 구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노년기는 ‘누적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자아’라는 동태적 개념으로 수렴되었다. 노인은 개인별 정체감을 인정받고자 했고 환경에 따른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노인들의 정체감을 흔드는 중대한 계기는 사랑과 죽음이었고, 의사결정을 위한 힘을 필요로 했다. 이 연구는 노인 자아가 누적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라는 이론적 관점과 지지적 노인상담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s purpose is to response the question who is the senior. So, 19cases of senior counseling is analysed to qualitative and interpre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x grumbles and structures of individual story. Their structures of individual story converge on a dynamic concept to accumulative forming self during interaction between their identity and actual environment. They want to be recognized one inherently and try a new change to dynamic environments. Their love and death are important opportunities to make them confuse. And they want to gain a strength for judgement and discussion in their life. This study suggest academically to the accumulative transforming self of the seniors and practically to the necessity of the supportive counseling for them.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 여섯가지 넋두리와 개별적 이야기 구조
5. 노인에 대한 이해 : 형성되고 있는 자아(Forming self)
6. 이론적 실천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